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공부방200

마음의 상처로 인한 심장병.. 상심 증후군(Broken Heart Syndrome) 사랑하는 가족, 연인을 잃을 때 사람들은 심리적으로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마음의 상처를 "상심(傷心, Heartbroken)"이라 표현한다.    우리가 흔히 '상심'이라는 단어를 떠올리면 위와 같이 조각난 하트모양의 이미지를 생각하게 된다. 실제로 조각난 심장처럼 심리적인 스트레스로 심장이 다쳐 생기는 질환이 있다. 바로 "상심 증후군(Broken Heart Syndrome)"이다. #. 상심증후군의 다른 이름 상심 증후군(Broken heart syndrome)은 스트레스성 심근병증(Stress-induced cardiomyopathy) 또는 타코츠보 심근병증(Takotsubo cardiomyopathy)으로도 불린다. 타코츠보(Takotsubo)는 문어를 잡는 항아리 단지.. 2024. 5. 13.
아이가 뒤집기를 한다면 기저귀 갈이대는 위험해요! 기저귀 갈이대에서 낙상한 8개월 환아가 응급실에 내원했다. 아이는 보챔없이 잘 놀고 있는 상태였고 보호자들에게 물었을 때, 기저귀 갈이대 높이는 성인의 배꼽보다 높은 위치로 적어도 1m이상은 된다고 하였다. 환아의 기본적인 이상을 확인했다. 주의 집중은 잘 하는지 팔다리 모두를 잘 움직이는지 떨어지면서 부딪힐만한 곳은 없었는지, 몸에 멍이나 다른 외상의 흔적은 없는지를 확인했다. 머리 뒤통수쪽에 5cm정도 되는 혹이 만져졌다. 소아 환자의 두부외상을 평가할때 적용하는 PECARN rule**에 따라 환아의 두부 CT를 촬영하기로 했다. **어린이가 머리를 다쳐 응급실에 내원한다면? PECARN rule! https://emdoc1988.tistory.com/m/35 어린이가 머리를 다쳐 응급실에 내원한다.. 2024. 5. 12.
심근병증(2) - 비후성 심근병증(HCMP, hypertrophic cardiomyopathy) #. 비후성 심근병증 (Hypertrophic cardiomyopathy)1. 정의 - 명확한 원인이 없이 좌심실이 비후되는 질환군 - 인구 500명당 1명의 유병률, 약 50%에서 상염색체 우성 유전의 가족력 2. 병태생리1) 좌심실 유출로(LV outflow tract, LVOT)의 동적 폐쇄 - 비대칭적 심실중격 비후(asymmetric septal hypertrophy, ASH)와 승모판 전엽의 수축기전방운동(systolic anterior movement of mitral valve anterior leaflet, SAM)2) 승모판 폐쇄부전(mitral regurgitation)3) 이완 기능의 장애(diastolic dysfuction) - 심실중격 비후 → 이완기장애 → 이완기말 압력 상승.. 2024. 5. 11.
심근병증(1) - 확장성 심근병증(DCMP, dilated cardiomyopathy) #. 확장성 심근병증(Dilated cardiomyopathy)1. 정의 - 심실의 수축기능이 저하되면서 심방과 심실의 확장이 진행되는 질환 - 심근병증 중에서 가장 흔한 타입!!2. 원인 - 특발성(~50%), 가족성 - 이차성 : 만성적 과음, HIV 감염, 항암제(doxorubicin, herceptin, imatinib) - Stress-induced cardiomyopathy(Takotsubo), peripartum, tachycardia-induced, alcoholic 3. 임상 양상1) 병력 - 확장성 심근병증의 가족력 - 서서히 진행하는 좌, 우심실부전 증상 - 모호한 흉통이 동반될 수 있음. - 전신 색전증이나 뇌경색, 부정맥에 의한 실신 등이 발생하기도 함. 2) 신체검진 - 작은 동.. 2024. 5. 10.
Cardiac inotropics(수축촉진제)에 대해서 심장에 작용하는 약물은 크게 두가지 효과를 갖게 된다.심장의 수축력을 상승시키는 Inotropic effect와 심박수를 조절하는 Chronotropic effect가 있다. 응급실/중환자실에서 심장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inotropics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 1. Inotropics의 작용 수용체와 각 수용체의 작용 부위 및 효과ReceptorLocationEffectβ1MyocadiumSA nodeAV node심근에 작용하여 심방과 심실의 수축력을 향상심박수를 빠르게 한다.AV 사이 전도를 빠르게 한다.β2ArteriolesLungsvasodilation; 혈관확장bronchodilation : 기관지확장αArteriolesvasoconstriction; 혈관수축 2. Inotro.. 2024. 5. 6.
심부전(heart failure)(4) - 심부전의 급성악화 및 치료 모든 질병이 악화 없이 잘 조절되면 좋겠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 조절이 잘 되다가도 갑작스러운 악화소견이 생길 수 있다.  심부전도 마찬가지인데, 이를 "심부전의 급성악화"라 한다. 오늘은 응급실에서 자주 마주할 수 있는 심부전의 급성악화의 치료법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다.  #. 심부전의 급성악화1. 급성악화의 원인, 심부전 악화의 원인1) 급성 관상동맥 질환(acute coronary disease) - 심장의 허혈로 인해 심장의 펌프기능(구획률)이 떨어져 심부전 증상이 악화된다.2) 심한 고혈압 (severe hypertension) - 심한 고혈압은 심장의 후부하(afterload)를 증가시키고, 오랜세월 조절되지 않은 경우엔 hypertensive cardiomyopathy(심근병증).. 2024. 5.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