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공부방200

심부전(heart failure)(3) - 심부전의 일반적 치료 앞선 심부전 시리즈에 이어 오늘은 심부전 환자의 치료에 대해서 공부해 보자. #. 심부전의 치료 심부전의 정도와 단계에 따라 심부전의 악화를 예방하고 교정이 가능한 원인을 찾아 치료해야 한다. 1. 일반적 치료1) 휴식- NYHA class I ~ III*의 심부전 환자에서 일상적인 활동이나 걷기 등은 도움이 된다. * NYHA class가 궁금하다면?https://emdoc1988.tistory.com/31 NYHA classfication심부전! 심장 질환의 종착역이라고 할 수 있는 심부전은 심장 기능의 약화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심부전의 가장 흔한 증상은 호흡곤란, 몸의 부종이다. 따라서 심부전이 있는 경우엔 호흡곤emdoc1988.tistory.com- 만성 심부전 : 노작성 호흡곤란을 느끼지.. 2024. 4. 26.
심부전(heart failure)(2) - 심부전의 진단 https://emdoc1988.tistory.com/183 심부전(heart failure)(1) - 심부전의 분류 및 증상 심장의 기능이 떨어진 경우를 심부전이라고 한다. 심장은 혈액을 받아들이는 이완기능(충만기능)과 짜내는 수축기능(펌프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결과적으로 심장의 이완을 통해 충분한 혈액을 emdoc1988.tistory.com 지난 포스팅을 통해 심부전의 증상과 분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심부전이 의심되는 환자는 어떤 과정을 통해 진단을 할까? 오늘은 바로 심부전의 진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 심부전의 진단 다음은 심부전의 진단 과정을 나타낸 도표이다. 외래나 응급실을 통해 심부전이 의심*되는 환자가 내원한다면, 다양한 검사를 통해 심부전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심전.. 2024. 4. 23.
심부전(heart failure)(1) - 심부전의 분류 및 증상 심장의 기능이 떨어진 경우를 심부전이라고 한다. 심장은 혈액을 받아들이는 이완기능(충만기능)과 짜내는 수축기능(펌프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결과적으로 심장의 이완을 통해 충분한 혈액을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피를 충분한 힘으로 짜내 우리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심부전 환자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 문제가 생겨 우리몸은 혈액공급이 부족한 상황에 이르게되고, 이로 인해 호흡곤란 및 다양한 증상이 생기게 된다. #. 심부전의 분류1. 원인에 따른 분류1-1. 심박출률 감소된 심부전: 심박출률(Ejection fraction) < 40% 1) 관상동맥질환 2) 만성 압력 증가 : 고혈압, 폐쇄성 판막질환 3) 만성 부피 증가 : 역류성 판막질환, intracardiac & extracar.. 2024. 4. 20.
LVAD - flow 가 떨어질때(low flow alarm) 68/M DCMP로 cardiogenic shock이 있어 VA ECMO, LV venting을 거처 LVAD (abbott사의 HeartMate 3) 적용하게 된 환자. 위와 같은 모양의 펌프를 좌심실의 첨부(LV apex)에 심어서 심장 자체를 bypass 하여 혈류를 대동맥 쪽으로 공급해 주게 된다. 이번 환자 케이스에서는 LVAD의 low flow alarm이 자주 울렸는데, LVAD환자에서 low flow alarm이 울리면 살펴봐야 하는 것을 공부해보았다. low flow alarm이 울리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의 경우로 나뉜다. PI(pulsatile index)가 높은지 낮은지! 1. low flow alarm이 울리면서 PI가 낮은 경우(보통은 PI < 3) 1) low intravasc.. 2024. 4. 15.
인공지능을 이용한 brain CT 스크리닝! 최근 인공지능의 열풍이 엄청나다. 병원에서도 인공지능을 이용한 다양한 툴들이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은 이미지나 다이어그램 형태를 분석하고 이상여부를 확인하는것에서 부터 시작하는 듯 하다. 심전도를 분석하여 환자의 부정맥은 물론 심근경색 등의 심장질환에 대한 예측, 위험도를 측정하기도 하며 다양한 영상 이미지를 학습시켜 비정상인 부분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기도 한다. 최근 우리병원에도 brain CT와 MR에 대하여 이상여부를 확인해주는 툴이 도입되어 시범적으로 운용되기 시작했는데, 툴이 도입된지 얼마되지 않아 현장에서 실제로 놓칠뻔한 뇌병변를 찾아준 사례가 있었다. 환자는 30대 여성으로 경련성 운동을 보여 응급실로 내원 하였고, 검사의 일환으로 brain CT를 촬영 했었다. 아래 3장의 사진이.. 2024. 4. 3.
흉수(Pleural effusion)에 대한 감별진단 #. 흉수 (Pleural effusion) 어떤 원인에 의해 흉강액이 과도하게 생성되거나 잘 제거되지 않아 흉강내에 액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있는 상태. #. 진단적 접근법1. 육안 소견(Gross findings) 1) Bloody: 혈흉, hemothorax 2) Pus: 농흉, empyema 3) Milky: 유미흉, chylothorax 2. 정상 흉막액의 성분 1) 양: 0.1~0.2ml/Kg 2) 세포: 1,000~5,000/㎣ 3) 단백질: 1~2g/dL (알부민 50~70%) 4) glucose: plasma level 5) LDH: < 50% of plasma level 6) pH: ≥ plasma level 3. 흉수검사 항목 - 일반적으로 다음 검사들을 시행한다. cell count .. 2024. 3.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