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방/신경26 실신과 발작을 구분하기 - Syncope과 seizure 일시적인 의식 소실이 있어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들이 있다. 비교적 짧은 수초~수분이내의 의식 소실 이후 별다른 후유증을 남기지 않고 회복을 한 경우엔 실신(syncope)으로 진단하게 되며, 의식 소실과 함께 팔다리의 강직과 떨림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는 발작(seizure)일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하지만 실제로 임상에서 실신과 경련을 구분하기란 쉽지 않다. * 과거 한차례 실신에 대해 정리해본 적이 있다. 이에 대해 궁금하다면 아래 포스팅을 확인해보자!2024.02.08 - [공부방/신경] - 의식 소실 후 완전한 회복 - 실신(Syncope) 의식 소실 후 완전한 회복 - 실신(Syncope)#. 실신이란? Syncope 또는 fainting은 짧은 의식의 소실 이후 별도의 의학적 처치 없이 자.. 2025. 2. 11. 한 쪽 얼굴이 마비되었다! 벨마비(Bell’s palsy) #. 벨 마비(Bell's palsy) 1. 벨 마비 (Bell's Palsy)란 무엇인가? 벨 마비, 또는 특발성 안면 마비는 갑자기 얼굴의 한쪽이 마비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주로 안면신경(7번 뇌신경, CN VII, cranial nerve VII)의 염증이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그 원인은 종종 명확하지 않습니다. 증상으로는 한쪽 얼굴의 움직임이 제한되거나, 눈을 감지 못하거나, 입꼬리가 처지는 등이 있습니다. 안면 마비가 발생하기 전후로 해당 측의 귀 주위로 통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주로는 2-3일에 걸쳐 갑작스럽게(acute) 증상이 발생합니다. 다른 뇌신경으로 삼차신경(CN V), 속귀신경(CN VIII), 혀밑신경(CN IX)로도 약간의 이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2. 벨 마비의 .. 2025. 2. 4. 술먹다가 다리에 힘이 안들어간다.. 베르니케 뇌병증(Wernicke encephalopathy) 술은 백해무익(百害無益)하다. 술을 마시게 되면, 뇌가 쪼그라들고 전두엽의 기능이 마비되어 정확한 상황판단을 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억제력이 떨어져 평소 하지 않을 만한 행동을 서슴지 않고 하게 된다. 또한 소뇌기능이 떨어지면서 균형을 잡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운동 실조로 인해 팔다리를 제 맘대로 움직이기 어렵게 된다. 술을 장기간 마시게 되면, 영양결핍이 생기는데 밥을 안먹고 술만 마시기 때문에 생기기도 하지만, 특정 영양소는 술로 인해 인체 흡수가 떨어지게 되면서 발생하기도 한다. 그 대표적인 영양소가 바로 티아민(thiamine)이라고 하는 비타민이다. 티아민은 비타민 B1으로, 다양한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양소이다. 이러한 대사 과정에 문제가 생겨 생기는 뇌병증이 있는데, .. 2024. 10. 8. 노인 우울증 - 단축형 노인우울척도(SGDS-K) 응급실에 내원 한 84세 여성분이 2주 전부터 입맛이 없고, 기운이 없어 응급실로 내원하게 되었다. 고혈압과 허리 척추 협착증 이외 별다른 질환이 없던 분이었고, 먹고 있는 약도 많지 않았다. 환자분은 남편분을 여의고 아들과 손자와 함께 생활 중이라고 하였다. 검진을 해보아도 특별한 신경학적 이상소견도 없었고, 다른 질병을 의심할만한 소견도 명확해 보이지 않았다. 어딘가 환자의 표정이 어둡고, 식욕이 없는 증상.. 의욕적이지 않는 모습 등 노인 우울증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노인우을증 여부를 확인해 보기 위해 간단한 설문지인 GSDS-K를 출력하여 환자분께 가서 질문을 해보았다. 환자분은 총 15개의 항목중 12점을 얻어 노인우울증의 가능성이 높은 상태로 보였다. 함께 내원한 자녀분께 .. 2024. 8. 1. 복잡한 이석증(BPPV)의 진단 프로세스 이해하기! 이석증에 대한 포스팅을 하며 공부하게 된 논문에서 훌륭한 진단 프로세스가 있어 정리해 보았다. 2013년도 아산병원 이비인후과 선생님들께서 발표한 논문에서 인용하였으며, 아산병원에서 운용하고 있는 이석증의 진단 프로세스라고 한다. 논문에서 밝히는 이석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나이는 평균 57세 - 남녀 성비는 26%:74% - 좌우비는 44%:55% (양측 1%) - 후반고리관 BPPV가 61%, 측반고리관 BPPV가 33%(향지성 22%, 원지성 11%), 상반고리관 BPPV 2%, 다발성(multi-canal) BPPV가 4% 먼저 병력상 whirling type dizziness, 그중에서도 체위성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석증을 확인하기 위한 체위 유발.. 2024. 6. 20. 이석증(BPPV, 양성 돌발성 체위 현훈) - AC(앞반고리관) 2024.06.07 - [공부방/신경] - 이석증(BPPV, 양성 돌발성 체위 현훈) - PC(뒤쪽반고리관) 이석증(BPPV, 양성 돌발성 체위 현훈) - PC(뒤쪽반고리관)#. BPPV의 병태생리1. 관내결석이론- 반고리뼈관내에서 이석에 의해 발생한 내림프(endolymph)의 이동2 팽대부정결석이론 - 이석이 팽대부정에 부착되어 직접 자극되는 것 반고리관(semicircular canal)emdoc1988.tistory.com2024.06.12 - [공부방/신경] - 이석증(BPPV, 양성 돌발성 체위 현훈) - LC(수평반고리관) 이석증(BPPV, 양성 돌발성 체위 현훈) - LC(수평반고리관)지난 포스팅에 이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BPPV의 수평반고리관(측반고리관)에서 발생한 이석증에 관하여 공부해.. 2024. 6. 17.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