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방200 응급실 증례 - multiple rib Fracture (다발성 갈비뼈 골절) 토요일에서 일요일로 넘어가는 새벽시간 경찰차 한대가 응급실 앞에 차를 주차한다. 응급실에서 간혹 경찰을 부르게 되는 경우가 있긴 하나 이번엔 아니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경찰관 두 분이 다른 한 명을 차에서 부축하여 내리게 한다. 응급실 진료를 보게 하기 위해 내원한 것이다. 평소엔 경찰이 판단할 때 사람이 다쳐 보이면, 119를 불러 병원으로 이송을 요청을 하고 119 대원과 경찰들이 함께 응급실로 오곤 했었다. 그런데 오늘은 경찰들만 와서 지나가는 말로 이유를 물었다. "구급대엔 연락 안 하셨어요?" 경찰분들은 조금은 격앙된 목소리로 "119를 불렀으나 현장에서 술에 취한 환자가 괜찮아 보인다고 해서 그냥 돌아갔다"라고 했다. 접수한 환자를 살펴보니, 술에 만취한 상태긴 했으나 의사소통이 가능.. 2024. 5. 28. 급성 뇌졸중(acute stroke)에서 Perfusion CT의 역할! 요즘엔 응급실로 내원하는 급성 뇌졸중(Acute stroke) 환자에게 perfusion CT(관류 CT)를 촬영하고 있다. 성공적인 혈전용해치료(Thrombolysis)를 통해 가역적으로 회복될 수 있는 허혈 부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급성기 뇌졸중이 생기면 뇌조직에 혈류가 차단된다. 뇌조직에 혈류가 차단되면, 조직을 구성하는 뇌세포는 필요한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지 못하므로 서서히 죽어가게 된다. 혈전용해치료(Thrombolysis) 혈전으로 막혀버린 뇌동맥을 뚫어줌으로써 허혈이 생긴 뇌조직을 살리고자 하는 데 있다. 하지만 뇌혈관을 뚫어준다고 해서 모든 조직이 살아나는 것은 아니다. 혈전용해치료를 통해 회복될수 있는 뇌조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속이 줄어든다. 또한, 일정 수준 이상의 망가져버린 .. 2024. 5. 25. 응급실 증례 - critical time을 놓친 뇌졸중 환자(MCA infarction) 뇌졸중, 그중에서도 혈관이 막혀서 생기는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infarction)은 원인과 치료에 따라 예후가 천차만별일 수 있어, 빠른 검사와 처치가 중요하다. 보통 이러한 환자를 선별하기 위해 뇌졸중 의심환자가 오면 각 병원에서는 stroke CP(clinical pathway)를 이용하여 빠른 진단 및 치료를 위한 프로세스를 운용하고 있다.https://emdoc1988.tistory.com/18 초급성 뇌졸중 환자가 응급실에 오면 (Stroke CP에 대하여..)내가 일하는 응급실에선 초급성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stroke CP (clinical pathway)를 적용하고 있다. CP란 같은 증상 및 진단으로 내원하는 환자를 체계적으로 진료 하기 위해 병원의 여러 파트(.. 2024. 5. 22. 심부전(Heart failure) 시리즈 정리 심부전에 대해 정리한 자료를 한번에 리스트업 해보았다. 마지막에 NYHA classification도 있으니 참고하자! 2024.04.14 - [공부방/심장] - 심부전(heart failure)(1) - 심부전의 분류 및 증상 심부전(heart failure)(1) - 심부전의 분류 및 증상심장의 기능이 떨어진 경우를 심부전이라고 한다. 심장은 혈액을 받아들이는 이완기능(충만기능)과 짜내는 수축기능(펌프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결과적으로 심장의 이완을 통해 충분한 혈액을emdoc1988.tistory.com 2024.04.22 - [공부방/심장] - 심부전(heart failure)(2) - 심부전의 진단 심부전(heart failure)(2) - 심부전의 진단https://emdoc1988.tis.. 2024. 5. 19. 빙글빙글 어지러워요 - 이석증(BPPV -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응급실 근무를 하다 보면 이른 아침 또는 새벽에 응급실을 찾는 환자들의 흔한 증상이 있는데, 바로 어지럼증이다. 이상하게도 다른 시간대보다 아침시간에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어지럼증은 정말 다양한 요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응급의학 교과서 중 하나인 "Tintinalli"의 어지럼증(Vertigo) 파트를 보면 위와 같이 어지럼증의 원인이 될만한 질병들에 대해 '간단히'정리했지만 방대해진 표를 확인할 수 있다. 우리몸의 회전을 물리적으로 느끼고,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고, 뇌로 전달하는 과정은 물론 그 신호를 해석하고 어지럽다고 느끼는 충추신경계에 이르기까지 그 경로중 어느 한군데만 이상이 있어도 어지럼증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한 원인이라고 할.. 2024. 5. 18. 심근병증(3) - 제한성 심근병증(restrictive cardiomyopathy) #. 제한성 심근병증 (Restrictive cardiomyopathy) 1. 정의 - 심실벽 경직으로 확장기 심실충만장애를 특징으로 한다. 한마디로 심장이 딱딱해지는 병. - 말기로 갈수록 수축기 장애도 동반된다. - 아밀로이드증(amyloidosis)의 심근침범이 흔한 원인 - 이식 심장, 혈색소증(memochromatosis), 파브리병(Fabry's disease), 심내막 섬유화, 사르코이드증(sarcoidosis), 과호산구 증후군(hypereosinophilic syndrome), 경피증(scleroderma), 폐/종격동 방사선 조사, 악성 종양의 심장 침윤 등 2. 임상 양상 - 심실충만장애로 심박출량이 감소함으로써 운동능력저하(exercise intolerance) - 하지 부종과 복수.. 2024. 5. 16.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3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