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공부방199

간농양(liver abscess, hepatic abscess) - 간에 생긴 고름 최근들어 응급실에 간농양 환자들이 많이 보이고 있다. 오늘은 간농양에 대해 간략히 공부해보도록 하자.이번 내용은 응급의학 교과서 중 하나인 Rosens emergency medicine의 hepatic abscesses 파트를 참고하였다. ##. 간농양(Liver abscess, Hepatic abscess)1. 간농양이란?정의 : 간에 고름이 쌓이는 염증성 질환을 말한다. 크게 세균으로 인한 화농성(pyogenic)과 기생충으로 인한 아메바성(amebic)으로 구분한다.특징 : 오른쪽 간엽에서 흔히 발생하며, 단일 또는 다발성 농양이 생길 수 있다. 다발성으로 발생한 경우 보다 심각하다. 2. 간농양의 원인2-1. 화농성 간농양(Pyogenic abscess)담도 문제: 담석, 담관염.복강내 감염: .. 2025. 5. 13.
CT 촬영으로 인한 암 발생 위험 예측 - 논문리뷰(JAMA internal medicine) 25년 4월 JAMA internal medicine에 실린 논문이 하나 있다. 바로 CT촬영을 한 대상으로부터 평생의 암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 것! 일반적으로 방사선을 이용한 x ray, CT 검사는 현대의학에서 없어서는 안 될 검사 방법이다. 또한, 방사선에 노출되는 경우 높은 암 발생과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다. 이 논문은 대규모 환자 데이터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CT를 찍는 것이 미래 암발생과 얼마나 관련 있는지를 밝혔다. 함께 내용을 들여다 보자. 1. 연구 목적2023년 미국에서 시행된 CT(computed tomography) 촬영으로 인한 방사선 노출이 유발할 평생 암 발생 위험을 예측.CT 이용률, 방사선량, 환자 연령/성별/촬영 부위별 암 위험을 정량화. 2. 연구 .. 2025. 5. 9.
De Winter 심전도란? De Winter 심전도는 급성 심근경색(AMI), 특히 "전방하행지(LAD,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의 급성 폐쇄와 관련된 특이한 심전도 소견으로, 전형적인 ST분절 상승 심근경색(STEMI)과는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2008년 De Winter 등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으며, STEMI의 "등가물(equivalent)"로 간주되어 즉각적인 재관류 치료가 필요한 긴급 상황을 나타냅니다.De Winter 심전도의 특징ST분절 하강전흉부 유도(V1-V4 또는 V1-V6)에서 ST분절이 1-3mm 하강하며, 하강 형태는 "상향 경사(upsloping)"로 나타납니다. 이는 전형적인 STEMI의 ST상승과 구별됩니다.높은 T파 (Hyperacute T wave)ST분절 하강.. 2025. 5. 3.
급성 심근경색 케이스 (AMI case) 40대 후반의 남성새벽부터 좌측 가슴이 조여 오고, 점점 심해지다가 좌측 팔로 방사되는 통증까지 발생.통증 발생한 지 5시간여 지나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환자는 10여년전 고혈압이 있었으나, 적절한 체중관리를 통해 약을 먹다 중단하고 지내왔다고 하며,대략 1달전 건강검진으로 고혈압과 고지혈증이 새로 발견되어 약을 먹기 시작했다고 하였다. 20대에 잠시 흡연을 했었으나, 지금은 피우지 않았었고심근경색이나 급사의 가족력은 없다고 하였다. NRS 6~7점 이상의 흉통으로 내원한 상태로.. 트리아지(triage) 이후 바로 심전도(ECG=EKG, electrocardiogram)를 시행하였다. 처음 촬영한 심전도에선aVR에서의 ST elevation 소견과 함께 inferior lead인 II, III, aVF.. 2025. 4. 25.
심방세동( Afib, AF; Atrial Fibrillation)의 REVIEW ARTICLE (feat. JAMA) 응급실에서 근무를 하다 보면, 심방세동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을 많이 보게 된다. 이들은 단순히 리듬 조절이 안 돼 심장이 빨리 뛰어 응급실을 내원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선 만성 질환의 결과로 심부전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선 폐렴이나, 다른 질환으로 일시적인 심방세동이 유발되는 경우도 많다. 오늘은 심방세동에 대해 2024년 JAMA에 발표된 리뷰 논문을 통해 심방세동에 대해 공부해 보자. Abstract - 심방세동(AF, atrial fibrillation)은 미국에서 약 1,055만 명의 성인이 앓고 있는 질환이다. - AF은 뇌졸중, 심부전, 심근경색, 치매, 만성 신장질환, 사망률의 유의한 증가와 연관되어 있다. - AF 환자에서 사용하는 항응고제(OACs; oral antico.. 2025. 4. 19.
"붉고 아픈 눈" 이야기: 눈이 빨갛고 아파요! - 로젠 응급의학(Rosens emergency medicine)을 그록(Grok)을 이용하여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요약한 내용이다. 1. 붉고 아픈 눈이 뭐예요?정의: 눈이 붉어지고 통증이 느껴지는 상태예요. 흔히 결막염, 각막 긁힘, 이물질 때문이지만, 드물게 시력을 잃을 수 있는 심각한 문제일 수도 있어요.얼마나 흔해요?: 미국 응급실에서 결막염, 각막 긁힘, 이물질이 TOP 3! 나이 들수록 녹내장 같은 비외상 질환도 늘어요.쉽게 비유하자면: 눈이 "SOS 신호"를 보내는 거예요. 대개 괜찮지만, 빨간불 켜지면 주의해야 해요.2. 왜 생길까? 원인은?외상:화학물질: 산/알칼리(심각).이물질: 먼지, 금속 조각.타격: 둔상(안구 파열), 관통상.비외상:감염: 결막염(바이러스/세균), 각막염(헤르.. 2025. 4.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