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방/중환자의학15 패혈증 환자에서 vasopressin의 사용에 대한 논문(JAMA, Optimal Vasopressin Initiation in Septic Shock) 최근 JAMA에 발표된 논문 "Optimal Vasopressin Initiation in Septic Shock: The OVISS Reinforcement Learning Study"를 읽고 이해하는데, Grok의 도움을 받아보았다. 이 연구는 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을 투여 중인 상황에서 바소프레신(vasopressin)을 언제 시작하는 것이 최적일지 알아보기 위해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이라는 기법을 사용한 연구이다. ##. 연구 목적- 패혈성 쇼크 환자에게 노르에피네프린을 사용 중일 때, 바소프레신을 추가로 투여하는 최적의 시점을 찾는 것. - 기존에는 바소프레신 사용 시점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부족했기 때문에, 데이터 기.. 2025. 4. 1. 패혈증 최신지견 (Sepsis and Septic shock) 24년도 12월 5일 NEJM에 발표된 패혈증 리뷰 논문. 논문 리뷰에 앞서 이전에 정리한 포스팅, 패혈증에 대해서 궁금하다면?2023.09.19 - [공부방/중환자의학] - 패혈증(1) - 패혈증은 무엇일까? 패혈증(1) - 패혈증은 무엇일까?지난 포스팅에선 패혈증과 균혈증의 개념을 비교해 보았다. (https://emdoc1988.tistory.com/124) Sepsis(패혈증), bacteremia(균혈증)이 뭔가요?응급실에서 근무를 하다보면, 환자나 보호자들이 많이 헷갈리는emdoc1988.tistory.com 다시 본론으로 넘어와서..논문의 포인트를 위주로 보면..- 폐혈증은 세균/진균/기생충/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초래되는 급성 장기부전으로 생명에 위협이 되는 증후군(신드롬)을 일컫는다.- .. 2025. 1. 13. 혈관 상태가 너무 안좋은 환자.. - 수술도 시술도 못해 이번 포스팅은 최근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케이스로 내가 본 환자 중 혈관상태가 가장 안좋아.. 중환자실까지 입원했으나 아무런 적극적 치료도 하지 못하고 요양병원으로 전원 하게 된 케이스이다. 환자는 70대 후반의 여성 본래 고혈압과 당뇨, 천식이 있으며, 폐암으로 치료받았던 적도 있는 분으로 최근 반복되는 골절로 치료를 받다가 요양병원에서 요양 중에 낙상을 하게 되었고, 그 이후 갑작스런 호흡곤란과 산소포화도 저하가 확인되어 병원 응급실로 전원 된 환자이다. 응급실에서 시행한 검사 결과 우측고관절 골절이 확인되었고, 어떤 원인에서인지 심한 대사성 산증이 발생해 있었다. initial ABGA : pH 7.211, PCO2 31.3, PO2 122, O2 saturation 97.3, HCO3- 13.. 2024. 9. 6. 패혈증(9) - 장기적 예후와 돌봄의 목표 #. Long-term outcomes 패혈증, 패혈증 쇼크는 다장기부전(multi-organ failure), 장기 기능적 후유증(long-term functional sequelae), 사망의 위험성이 높은 질환으로 환자에 따라 치료에 대한 반응 및 예후가 매우 다를 수밖에 없다. 또한, 환자의 상태나 상황, 각 의료기관의 치료능력과 시설, 심지어 같은 의료기관에서도 개별 환자에 대한 지원은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환자의 다양성과 그를 둘러싼 복잡한 환경적 요인들 때문에 일반화된 장기예후를 예측하는 것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 Goals of care- 패혈증 및 패혈증 쇼크 환자들은 다장기부전(multi-organ failure), 장기적으로 기능적에 대한 후유증 및 사망에 대한 위험.. 2023. 11. 12. 패혈증(8) - 패혈증에서 추가로 도움이 되는 치료와 추천되지 않는 치료 이전 포스팅들은 패혈증 치료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수액처치, 항생제의 사용, 환자의 호흡보조와 산소공급 등에 대해 공부해 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선 패혈증 치료의 근간(?)이라고는 하기 어려우나,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전문가 의견이나, 크게 도움이 되지 않아 가이드라인으로는 추천하기 어려운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corticosteroid의 사용- 지속적인 승압제 사용이 필요한 패혈증 쇼크 환자에서는 IV corticosteroid를 사용하길 권고한다. - 이전 2016년도 가이드라인에서는 적절한 수액 및 승압제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도 shock이 지속되는 환자에 한해서 corticosteroid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되어 있으나 21년도 가이드라인에서는 좀 더 완화된 기준으로.. 2023. 11. 4. 패혈증(7) - 패혈증 환자의 산소공급 및 환기(Ventilation) 패혈증 환자는 필연적으로 숨이 차고 호흡이 가빠질 수밖에 없다. 폐렴과 같은 호흡기감염으로 인한 패혈증, 패혈증 쇼크는 물론 직접적인 호흡기계에 염증을 일으켜 호흡곤란을 유발하지만 다른 경우에서도 숨이 차거나 산소포화도가 떨어져 직접 산소를 공급해줘야 하는 경우가 많다. 왜 그럴까? #. 패혈증 환자가 숨이 차는 이유는?그 이유는 바로 심한 염증 반응으로 인하여 산소요구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우리 몸은 폐에서 받은 산소를 혈액에 녹여 심장이라는 펌프를 이용해 장기와 말단 조직, 세포들에게 산소를 전달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패혈증으로 인해 우리 몸의 염증반응이 심하게 발생하고 이로 인한 cytokine storm(세포 간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물질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상황)으로 인해 발열과 함께 각 조직.. 2023. 11. 1.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