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공부방200

저나트륨혈증(Hyponatremia)의 원인과 치료, 진단 알고리즘 #. 저나트륨혈증(Hyponatremia)1. 정의- 혈청 Na+ 농도  2. 임상 양상- 대개 무증상이다.- 증상의 발현은 보통 혈청 Sodium(Na+)의 감소 속도와 관련되어 나타난다. 즉, 수치의 변화가 빠를수록 증상이 발생하기 쉽다. 보통 48시간 이내 갑자기 유발되는 저나트륨혈증을 acute로 판단하며, 빠른 시간에 심하게 생길수록 증상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 Na 수치에 따라 125~129 mEq/L를 moderate, 1) 중등도 증상: 오심과 구토, 두통, 혼란(cofusion)2) 중증 증상: 구토, 심폐기능 장애, 의식 변화(졸림에서 혼수까지 다양할 수 있음, GCS 8점 이하), 경련(seizure) 3. 진단적 접근1) serum osmolality : 일반적인 경우 osm.. 2024. 7. 19.
흉부 x선 촬영에 대해(3) - chest x ray로 보이는 것들 이번 포스팅에선 흉부 x ray로 확인할 수 있는 몸의 구조물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Chest x-ray로 확인하기에 앞서 흉곽 안에 들어있는 구조물들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그림을 한 장 보고 넘어가자. 아래 그림은 의대생들이 해부학 시간이 가장 많이 참고하는 교과서중 하나인 CIBA의 삽화그림 중 하나이다.  갈비뼈와 아래쪽 횡격막을 경계로 하는 흉곽(Rib Cage) 안쪽에 보이는 커다란 구조물만 하더라도 폐(lung), 심장(heart), 상대정맥(SVC, superior vena cava), 대동맥(Aorta), 기관(trachea), 흉선(thymus) 등이 있으며, 눈으로 구별하기 어려운 작은 신경과 혈관을 비롯한 작은 구조물과 얇은 막형태의 구조물들도 많다. 아래 그림을 눈에 잘.. 2024. 7. 17.
흉부 x선 촬영에 대해(1) - 흉부 x ray의 종류 예전 의대를 다닐 당시 간질환의 권위자인 '이효석'교수님께서 복부 신체검진을 가르쳐 주시는 시간에 해주신 말씀이 기억에 남는다. '요즘엔 영상 및 검사기술이 발달해서 젊은 의사들은 신체검진보다는 검사를 선호하고, 그 결과 점점 신체검진을 소홀히 여긴다.'라고 하였다. (정확한 워딩은 아니겠지만, 그 당시 내가 받아들였던 뉘앙스를 살려 적어보았다.) 의사가 된지 10여 년 전문의가 된지 5년 정도 된 현재..내원한 환자의 흉부 x ray 사진을 보던중..x ray 만으로는 너무 애매(정보가 충분치 않다는 의미)하다는 생각을 하며 갑자기 이효석 교수님이 하신 말이 떠올랐고,  요즘 CT 기술의 발달과 접근성이 용이해지면서 x ray를 점점 소홀히 해가는 나를 보며.. 다시 기본으로 돌아가보자는 생각으로 x .. 2024. 7. 11.
장천공, 복막염도 요즘엔 복강경 수술로 해결! 72세 여성이 복통으로 응급실에 내원하였습니다.  복부 검진상 아랫배 쪽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압통이 보였고, 심한 반발통도 보이고 있었습니다.특별히 설사나 발열, 구토 증상을 보이지 않았고 검진상 surgical abdomen(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복부 검진소견)이 의심되었기에 바로 복부 CT를 촬영하였습니다.  CT에선 소장 중간부분(공장, jejunum) 쪽에 free-air 및 염증성 변화가 보여 천공(perforation)이 의심되었고, 외과 팀에 의뢰하여 수술적 치료를 받게 되었습니다.  요즘엔 기술이 좋아져서인지 이런 장천공 환자들도 대부분 복강경적 수술을 통해 최소침습수술이 가능했습니다.위 사진은 복강경을 통해 본 복막염(복강 내 염증) 소견입니다. 환자분은 COPD라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으.. 2024. 7. 1.
폐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1. 정의1-1. 폐고혈압 -안정 시 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 (mean PAP, 평균 폐동맥압력) ≥ 25 mmHg1-2. 폐동맥 고혈압 아래 1)~3)의 기준을 모두 만족한 경우에 폐동맥 고혈압으로 진단 가능하다. 1) 안정시 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 (평균 폐동맥압력) ≥ 25 mmHg   2) pulmonary artery wedge pressure(PAWP) ≤ 15 mmHg 3)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 3 Wood Unit 2. 증상 및 징후1-1. 증상 - 비특이적이어서 조기 진단에 어려움이 있음. 1) 호흡곤란 2) 피로감  3) 전신 위약감 4) 협심증과 비슷한 흉통 5) 실신 6) 복부 팽만1.. 2024. 6. 30.
동의서로 알아보는 내시경(1) - 상부위장관 내시경(EGD) 일반인들이 가장 흔하게 하는 내시경은 바로 위내시경일 것이다.  위내시경은 간단히 줄여서 부르는 이름이고, 본래 정식 명칭은 Esophagogastroduodenoscopy(EGD)이다. 식도(Esophagus), 위(gastro-; 위장을 뜻하는 gastrointestinal의 접두사), 십이지장(Duodenum)을 눈으로 보는 검사를 Esophago-gastro-duodeno-scopy라고 한다.  오늘은 EGD 검사를 하기 전 받게 되는 동의서를 통해 내시경 검사에 대해 알아보자! #. 내시경전 확인해야할 사항들 내시경의 처음은 환자의 기본 병력과 검사와 관련된 기타 정보를 확인하고 기입하도록 하고 있다. 내시경을 하게 되면 상당한 구역감과 함께 위장을 부풀리기 때문에 심폐기능의 심각한 저하가 있는.. 2024. 6.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