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공부방/기타18

급성 장동맥 질환 증례 - SMA embolism, 진단을 위한 긴 여정 2025.01.21 - [공부방/기타] - 말초혈관질환(2) - 급성 장동맥 질환 말초혈관질환(2) - 급성 장동맥 질환#. 급성 장동맥 질환 (Acute mesenteric ischemia) 갑작스러운 복통으로 내원 한 환자들 중 장동맥의 폐쇄로 인해 장으로 가는 혈액량이 줄어든 경우가 있다. 최근 타병원에서 SMA(superior mesenteric artery) ememdoc1988.tistory.com  이전 포스팅 이후 얼마되지 않아 급성 장동맥 색전증 환자를 접하게 되었다.  환자는 86세 남성분으로 타 병원에서 r/o NSTEMI라고 전원 문의가 되어 수용하기로 했던 환자였다.  평소 고혈압과 고지혈증이 있어 동네병원에서 약을 타드셨고, 국가 건강검진은 정기적으로 받고 계셨다. 아들 내외와 .. 2025. 2. 6.
말초혈관질환(2) - 급성 장동맥 질환 #. 급성 장동맥 질환 (Acute mesenteric ischemia) 갑작스러운 복통으로 내원 한 환자들 중 장동맥의 폐쇄로 인해 장으로 가는 혈액량이 줄어든 경우가 있다. 최근 타병원에서 SMA(superior mesenteric artery) embolism 환자가 전원 온 적이 있었다. 자주 보는 질환이 아니라 어떤 점을 고려하고, 어떤 치료법을 고려할 수 있는지가 바로 떠오르지 않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와 관련된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1. 장동맥의 해부학적 구조  대동맥에서 분지되어 나오는 상장간막동맥(SMA, superiror mesenteric artery)과 하장간막동맥(IMA, inferior mesenteric artery)를 통해 대부분의 소장, 대장이 혈류를 공급받고 있다. .. 2025. 1. 21.
말초혈관질환(1) - 폐쇄동맥경화증(ASO) #. 급성 다리 동맥 질환 - atheriosclerosis obliterans다리 동맥의 허혈을 감별하기 위해 유용한 1차 검사.1. ABI(ankle-brachial index) - 팔은 상박(brachial artery)에서 측정한다. - 다리는 발목에서 측정한다. 무릎 근처에서 측정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수축기 혈압으로 계산한다. - 각 발목에서의 수축기 혈압 / 양측 팔 혈압 중 더 높은 수축기 혈압 - 0.9 이하 비정상이며, 낮을수록 허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 너무 높다면 ( >1.2) 위음성 일 수 있으므로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2. 응급실에서의 진단은 주로 Enhanced CT!!- 조영 된 혈관이 하얗게 보이게 되는데, 뼈나 칼슘의 밝기와 비슷 밝기로 보이게 된다.. 2024. 12. 9.
응급실에서 임신 테스트를 하는 이유 응급실에 내원한 가임기 여성분들을 대상으로 소변 현장검사를 통한 임신 여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간단한 검사이긴 하지만소변을 받아야 하기에 그만큼 검사 및 투약 시간이 지연 됩니다. 하지만 본인이 임신 가능성이 없다 하더라도모든 피임법의 피임성공률이 100%가 아니므로 최근 마지막 생리사이클 이후 성관계 경험이 있다면 임신 가능성이 있는 것입니다.따라서 약물이나 방사선에 영향을 많이 받을수 있는 임신 초기에 이러한 노출을 예방하기 위해응급실에선 가임기 여성분들을 대상으로 임신테스트를 시행하곤 합니다. 2024. 11. 25.
인공지능을 이용한 brain CT 스크리닝! 최근 인공지능의 열풍이 엄청나다. 병원에서도 인공지능을 이용한 다양한 툴들이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은 이미지나 다이어그램 형태를 분석하고 이상여부를 확인하는것에서 부터 시작하는 듯 하다. 심전도를 분석하여 환자의 부정맥은 물론 심근경색 등의 심장질환에 대한 예측, 위험도를 측정하기도 하며 다양한 영상 이미지를 학습시켜 비정상인 부분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기도 한다. 최근 우리병원에도 brain CT와 MR에 대하여 이상여부를 확인해주는 툴이 도입되어 시범적으로 운용되기 시작했는데, 툴이 도입된지 얼마되지 않아 현장에서 실제로 놓칠뻔한 뇌병변를 찾아준 사례가 있었다. 환자는 30대 여성으로 경련성 운동을 보여 응급실로 내원 하였고, 검사의 일환으로 brain CT를 촬영 했었다. 아래 3장의 사진이.. 2024. 4. 3.
코피(Epistaxis) #. 코피 코피로 응급실을 찾는 환자는 주로 10세 미만이거나, 50세 이상의 환자가 많다. 응급실에서 일하면서 느끼기로는 주로는 공기가 차고 건조해지는 겨울철 이른 아침 찾아오는 고령의 환자들이 많은 것 같다. 물론 이들은 대부분 항응고제나 항혈소판제를 복용하고 있다. 1. 코피의 원인 - 손가락 외상 (코를 파서 생기는 외상) - 기타 외상 - deviated septum (비중격 만곡) - 건조한 공기에 노출 - rhinosinusitis (비염/부비동염) - neoplasia (종양) - chemical irritant의 사용 (스테로이드 등의 흡입기, 비강 산소 캐뉼라의 사용 등) 코피가 생기는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환자에게 병력을 청취한다. 코를 손가락으로 파거나, 외부 충격으로 타인의 주먹에.. 2024. 2.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