넋두리81 경제용어 part 2 자유 경제 체제인 현대 사회를 살아감에 있어 반드시 알아야 할 경제용어에 대하여 알아보자. 다음에 나열된 용어들은 내가 고른 것은 아니다. 사실 이과생 출신인 필자도 경제에 대해서는 문외한에 가까운 상태기에, 이 세상에서 경제 활동을 함에 있어 필요한 경제용어에 대하여 공부해보려고 한다. 다음 용어들은 필자가 좋아하는 경제서적인 김승호 회장님의 '돈의속성'에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데 최소한으로 알아야 할 경제 관련 용어로 추천? 해준 것들이다. 경제적으로 우리나라만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영어로 제공되는 정보의 양이 훨씬 많고 우리나라 뉴스에 나오는 것보다 반박자 빠르기 때문에,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단어도 찾아보기로 했다. 가산금리, 경기동향지수, 경상수지, 고용률, 고정금리, 고통지수, 골디.. 2023. 4. 10. 경제용어 part 1 자유 경제 체제인 현대 사회를 살아감에 있어 반드시 알아야 할 경제용어에 대하여 알아보자. 다음에 나열된 용어들은 내가 고른 것은 아니다. 사실 이과생 출신인 필자도 경제에 대해서는 문외한에 가까운 상태기에, 이 세상에서 경제 활동을 함에 있어 필요한 경제용어에 대하여 공부해보려고 한다. 다음 용어들은 필자가 좋아하는 경제서적인 김승호 회장님의 '돈의속성'에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데 최소한으로 알아야 할 경제 관련 용어로 추천? 해준 것들이다. 경제적으로 우리나라만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영어로 제공되는 정보의 양이 훨씬 많고 우리나라 뉴스에 나오는 것보다 반박자 빠르기 때문에,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단어도 찾아보기로 했다. 가산금리, 경기동향지수, 경상수지, 고용률, 고정금리, 고통지수, 골디.. 2023. 4. 10. 타인에 대한 호칭, '선생님' 다른 사람을 부를 때 어떤 호칭을 사용하는가? 나는 '선생님'이라는 칭호를 선호한다. 같이 일하는 동료 의사는 물론, 간호사, 간호조무사, 원무과, 미화원분들까지 모두 '선생님'으로 통용하여 부르고 있다. 내가 병원에서 일해서 선생님이라는 호칭이 익숙한 것일 수도 있지만, 다른 직군에서도 선생님이라는 칭호는 자주 접할 수 있다. 선생(先生)이라는 말은 글자의 뜻 그대로 풀이하면 '먼저(先) 태어난 사람(生)'을 뜻한다. 하지만, 사회적으로는 다른 사람을 높여 부르는 호칭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내가 타인을 지칭할 때 선생님이라는 호칭을 붙이는 것도 그들을 존중하는 마음에서이다. 나도 남에게 존중받고 싶기에, 다른 사람을 대할 때에도 존중의 의미를 담아서 부른다. 경제 관련 서적(김승호 회장님의 '돈의속.. 2023. 4. 9. 검사에 선넘었습니다. 삭감 통보! 개원하신 선생님들에게는 비할바가 못 되겠으나,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나에게도 삭감 통보를 알리는 내용의 안내문이 도착했다. 교통사고로 내원한 환자에게 시행한 brain CT와 chest CT에 대해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약칭 '심평원')에서 CT 촬영이 불필요한 환자로 보이니, 해당 검사건에 대해서는 수가를 보전해 줄 수 없다는 내용이었다. 실제로 중증의 외상이 아닌, 단순 교통사고로 내원하는 환자들에게 CT 검사는 그다지 필요한 검사는 아니다. 대부분 가벼운 경추, 요추의 긴장 및 염좌 소견이 대부분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머리를 다친 경우엔 동반된 증상 여부에 따라 brain CT정도를 찍어보는 수준이다. 그날의 환자는 단순 교통사고보다 차량 손상이 심해 보이긴 했으나, 환자의 단순 x ray 영상은 큰 .. 2023. 4. 2. 소아과 의사단체의 폐과 선언.. 점점 응급실로 내원하는 소아 환자가 늘어간다. 부모들이 낮에 일하고 저녁 밖에 시간이 없는 이유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54638 “직원 월급도 못줘” 소아과 의사단체 폐과 선언 소아청소년과 개원 의사단체가 29일 수입 감소 등으로 운영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폐과’ 선언을 했다. 임현택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 회장과 단체 회원은 이날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n.news.naver.com 위와 같은 기사를 보면.. 주변에 소아청소년과 병원이 사라져서 부득이 응급실로 내원하는 환자가 늘어난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불과 3-4개월 전인 작년 12월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된 길병원에서 소아청소년과 입원을 더 이상 받을 .. 2023. 3. 30. 2022 한국의 사회지표; 고령화와 저출산 최근 23년 3월 23일 통계청에서 2022년도 우리나라의 사회지표를 종합하여 발표하였다.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60500&bid=10820&act=view&list_no=424445) 관심 있으신 분은 위 링크에서 확인 가능하니 확인해 보시면 되겠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나라 사회지표 중 건강과 관련된 항목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장 먼저 우리나라의 출산율이다. 우리나라의 출산률은 22년도 0.78명으로 가임기(15~49세) 여성 한명이 0.78명의 아이를 출산한다는 뜻이다. 남녀가 만나 0.78명의 아이를 낳는 것이기에, 인구 2명이 0.78명을 생산하는 상황이다. 때문에, 우리나라의 인구는 감소세로 돌아섰고 22년도 기준 한국의 인구는 5160만.. 2023. 3. 26.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