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넋두리84

시사 경제용어 어릴적부터 독서량이 많지 않았던 나는 사회 경제 분야에 대해서는 문외한이다. 따라서 전공의 수련을 마치고, 상대적으로 시간적 여유가 생기면서 관심은 있지만 잘 모르는 분야에 대해 공부하기 위해 책을 읽는다. 하지만, 모르거나 많이 들어보았으나 정확히 어디서 유래하고 사용되는지 모르는 용어들이 있어, 검색해본것들을 모아 정리해두고자 한다. * 제국주의 : 특정국가가 다른 나라, 지역 등을 군사적, 정치적, 경제적으로 지배하려는 정책, 또는 그러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상 * 지정학 : 지리적 조건과 경제가 국가간의 정치와 상호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탐구하는 학문 * 단극시대 : 단극(unipolarity)이란, 별다른 경쟁체제 없이 어느 하나의 질서체계로 이뤄지는 시대, 1945년 2차 세계 대전 .. 2023. 7. 4.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의사들은 어디에? 일요일 저녁 MBC 탐사기획 스트레이트에서 ”소아과 대란, 의사들은 어디에? “라는 제목의 프로그램을 방송했다. 영상에서는 언급되지 않았으나, 나름 필수의료라 생각하는 응급의학과 전문의로서 영상을 본 소감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아래 글은 피부나 미용업계, 1차 개원의의 입장이 아닌 2차병원에서 중환자실, 응급실 근무를 하는 응급의학과의 입장임을 알아주셨으면 한다. https://www.youtube.com/live/8CI-yg_eo34?feature=share * 탐사기획 스트레이트에서 소개한 사례- 소아과 진료를 위한 오픈런, 새벽부터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위해 줄서는 사례 - 소아청소년과를 개원했다가 망한 사례 - 어린이날 연휴 급성후두염으로 사망한 어린이의 사례 - 전북에서 세.. 2023. 6. 18.
중환자실 근무 중 가장 우울한 동의서.. 연명치료중단 주말 중환자실 당직 근무를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한 환자의 치료를 중단하기로 하였다. 40대의 비교적 젊은 남성분인 이 환자분은 DCMP(dilated cardiomyopathy, 확장성심근병증) 환자로 심장이식 수술을 받은 이후에도 체중관리 및 혈당조절이 잘 되지 않았던 상태로 생활하다가 심정지가 발생하였고, ECMO를 유지하며 치료하였지만 승압제 요구량도 높아지고, DIC(파종성 혈관 내 응고병증)도 발생, 다장기 부전의 소견으로 사망 직전의 상태로 임종기 과정에 있는 상황이었다. 최근 몇일동안의 집중 치료에도 호전이 없고, 상태는 더욱 안 좋아지고, 승압제 사용으로 팔다리는 괴사가 진행하고 있었던 것이다. 본래 다니던 심장내과 과장과 보호자들도 5일여간의 치료 기간동안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 2023. 6. 17.
마스크 시대 이후 창궐하는 감염병! 지난 1월 30일 마스크 시대의 종식을 알림과 동시에 일부 시설을 제외하고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하였고, 3월 20일부터는 대중교통도 마스크를 벗고 이용해도 되는 시대가 되었다. 이전 3년간의 마스크 시대가 종식된 것이다. 외출할 때 마스크를 챙기지 않아도 되고 더워지는 날씨에 숨쉬기도 편하고, 일상생활에서 마스크를 벗는다는 소식은 의료인인 나에게도 매우 반가운 소식이었다. 하지만 마스크 시대의 종식과 함께 우리 사회는 다양한 감염병이 창궐하고 있다. 마스크를 끼고 다니면서 개인이나 가족사이에서만 공유되던 호흡기 바이러스들이 여기저기 옮겨 다니며 감염을 일으키고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자도 당연히 다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6개월 정도의 주간 발생률을 그래프로 보면 아래와같다. 조금씩 .. 2023. 5. 19.
전원갈 땐 꼭 챙겨가세요! 전원의뢰서, 검사결과지, cd copy! 응급실을 방문하는 일부 환자들은 치료를 위해 입원이 필요한 경우가 생기게 된다. 하지만 입원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자신이 다니던 병원이나 방문한 병원에 입원하지 못하고 다른 병원으로 전원을 가게 되는 경우가 생기곤 한다. 이러한 경우를 바로 전원(Transfer)이라고 한다. 전원을 하는 이유는 다양하며, 대표적인 이유로는 아래와 같다. - 병실이 부족해서 - 중환자실이 부족해서 - 당장 응급 수술 또는 응급처치가 불가능해서 - 전문의료가 필요해서 - 호소하는 증상이나 상태가 경미한 경우 - 요양병원이나 본래 있던 병원으로의 회송 전원을 하는 대표적인 경우는 바로 병실이 없어서이다. 환자의 상태가 나쁘지 않은 경우엔 일반 병실로 입원하게 되고, 활력징후가 나쁘거나 나빠질 가능성이 있는 환자, 또는 의식.. 2023. 5. 11.
중환자의 전원... 힘들었던 코로나 심정지 환자의 전원 응급실에서 근무를 하는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에게 물어보면 가장 힘들어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전원일 것이다! 전원(transfer)이란, 환자가 입원이 필요한 상황인데 현재 환자가 위치한 병원에서는 입원병실이 없거나, 환자에게 필요한 처치(검사, 치료, 수술 등)가 불가능한 경우 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을 알아보고 해당병원으로 환자를 옮기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이론적으로는 크게 어렵지 않으나, 이런 전원이 필요한 경우의 환자는 일반 병원에서는 검사와 치료가 용이하지 않은 복합적인 문제가 있거나, 중환자실 입원치료나 수술적 치료등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부분의 전원이 필요한 환자들은 상급병원으로 전원을 하는게 일반적이다. 최근 중환자실 근무를 하면서 있었던 사례를 하나 소개하고자.. 2023.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