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방/심장37 협심증(Angina pectoralis)이란?(3) - 이형협심증(Variant angina) 앞서 두 가지 종류의 협심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https://emdoc1988.tistory.com/151 협심증(Angina pectoralis)이란?(1) - 안정 협심증흉통은 응급실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증상 중 하나로, 그 원인에 따라 급사할 수 있는 증상이다. 그 이유는 바로 심장 때문에 발생한 증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심장의 관상동맥이 완전히 emdoc1988.tistory.comhttps://emdoc1988.tistory.com/152 협심증(Angina pectoralis)이란?(2) - 불안정 협심증지난 포스팅에선 협심증의 종류 중 안정협심증에 대해 알아보았다. https://emdoc1988.tistory.com/151 협심증(Angina pectoralis)이란?(1) -.. 2024. 1. 6. 협심증(Angina pectoralis)이란?(2) - 불안정 협심증 지난 포스팅에선 협심증의 종류 중 안정협심증에 대해 알아보았다. https://emdoc1988.tistory.com/151 협심증(Angina pectoralis)이란?(1) - 안정 협심증 흉통은 응급실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증상 중 하나로, 그 원인에 따라 급사할 수 있는 증상이다. 그 이유는 바로 심장 때문에 발생한 증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심장의 관상동맥이 완전히 emdoc1988.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불안정 협심증에서 다뤄보고자 한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안정 협심증이 악화되면 불안정 협심증이 될 수 있으며, 불안정 협심증은 안정 협심증보다 증상이 심하고, 쉽게 악화될 수 있다. #. 불안정 협심증, Unstable angina 1. 진단 - 다음 3가지 중 한가지.. 2024. 1. 4. 협심증(Angina pectoralis)이란?(1) - 안정 협심증 흉통은 응급실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증상 중 하나로, 그 원인에 따라 급사할 수 있는 증상이다. 그 이유는 바로 심장 때문에 발생한 증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심장의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힌 경우엔 심근경색으로 진단되나, 심근경색이 진단되기 전이라도 관상동맥이 죽상동맥경화 등으로 인해 점차 좁아지면서 흉통 및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상태를 협심증이라고 한다. 협심증도 환자의 증상이 안정되었는가, 최근 들어 악화되고 있는가에 따라 안정형 협심증과 불안정형 협심증으로 구분을 하게 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안정형 협심증과 불안정형 협심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 안정형 협심증, Stable angina 1. 증상 1) 흉통의 양상. - 위치 : 주로 전흉부(anterior che.. 2023. 12. 28. 동의서로 알아보는 심장 관상동맥조영술(CAG, coronary angiography) 중년의 남성이 출근준비를 하던 중 갑작스러운 흉통이 찾아왔다. 가슴이 답답하고 조이는 것 같았고, 약간 숨찬듯한 느낌과 함께 식은땀이 났다. 통증이 생긴 지 30분이 넘어도 좋아지질 않아 인근 응급실을 방문하게 되었다. 이런 경우 일반적으로 가장 걱정하는 것은 '심근경색'을 비롯한 급성 관상동맥 질환이다. 다양한 검사를 거쳐 급성 관상동맥 질환이 의심된다면, 이후 정확한 검사 및 치료를 위해 시행해야 할 검사는 바로 심도자술을 통한 관동맥 조영술이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환자는 시술의 대략적인 정보와 내용이 담긴 동의서에 대한 설명을 듣고 시술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내가 환자라 생각하고 동의서의 내용을 먼저 살펴보자 자, 어떤가? 동의서의 내용이 쉽게 이해되는가? 동의서에 나오는 단어들은 의료인이 아니.. 2023. 12. 17. 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1. 정의 - 관상동맥 혈류량의 부족으로 갑작스러운 심근조직의 괴사가 일어나는 것. 2. 진단 - 심근 트로포닌(cardiac troponin)의 상승이 있으면서 아래 중 하나 이상 나타날 경우 1) 심근허혈에 의한 증상이 있는 경우 2) 심전도에서 ST segment - T wave의 변화 또는 좌각차단(LBBB)이 있는 경우 3) 심전도에서 병적 Q wave가 있는 경우 4) 새로운 국소 벽 운동 장애 또는 심근손실의 영상학적 근거가 있는 경우 5) 조영술 또는 부검을 통해 관상동맥 내 혈전을 확인하는 경우 2-1. 병력 - 급성 심근경색과 연관된 가슴통증 (=흉통, chest pain) - 협심증에서의 통증과 비슷하나 더 심하고, 지속시간이 더 김. - 관상동맥 혈류의 완전한 폐색으로 인한 경우 휴.. 2023. 12. 12. 대동맥판막의 노화의 결과; 대동맥판막협착(AS, Aortic stenosis) 심장질환 환자가 많은 우리 병원의 특성상 자주 보게 되는 환자군으로 나이가 들어가면서 대동맥판막(aortic valve)의 노화로 인해 생기는 대동맥판막 협착증 환자가 있다. 오늘은 대동맥판막의 구조와 대동맥판막협착에 대해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다. 대동맥 판막 협착은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나가는 길이 좁아지는 지는 것으로, 좁은 관에 물을 흘러 보내는데 더 큰 힘이 필요하기에 좌심실과 좌심방에 커다란 압력이 걸리게 되고, 좁아진 좌심실 배출로(LV outflow tract)로 나가는 혈류량이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협착이 상당히 진행되기 전까지는 별다른 증상을 느끼기는 어렵고, 협착이 상당히 진행되어야 다음과 같은 증상이 생길 수 있다. - 흉통 - 빈맥, 부정맥 - 실신 - 호흡이 가쁘고, 호흡곤란을 .. 2023. 4. 17.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