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64 패혈증(5) - 수액처치 뭐가 더 좋아? balanced fluid vs. 0.9% saline 패혈증 초기 처치의 근간은 다름 아닌 충분한 수액공급이다. 조직관류가 떨어지고 이로인한 organ dysfuction이 장기부전으로 이어지는 것이므로, 충분한 수액을 공급하고 혈압과 산소포화도를 유지해줘야 한다. 충분한 수액 처치를 위해선 어떤 수액을 사용해야 할까? 우선 병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액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 병원에서 사용하는 수액의 종류 수액종류 Na K Ca Mg Cl HCO3- Lactate Acetate gluconate glucose mOsm/L ECF(세포외 체액) 135~ 145 4.5~ 5.0 2.2~ 2.6 0.8 94~ 111 23~ 27 280~ 310 D5W 50 252 0.9% NaCl (normal saline) 154 154 308 0.45% NaCl (.. 2023. 10. 12. 응급실 이용할 때 참고할 점!(Tip?) 추석과 개천절, 임시공휴일로 이어지는 6일간의 연휴가 이어지고 있다. 대부분 연휴라면 가족들과 함께 편히 휴식을 취하거나, 평소 만나지 못했던 가족들을 만나거나, 미뤄왔던 여행을 계획하기 바쁠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이러한 연휴에 더욱 바빠지는 곳이 있으니 그곳은 바로! 응급실이다. 일반 의원급 병원은 물론 준종합병원들도 쉬는 곳이 많아짐에 따라 환자들이 응급실로 집중되기도 하고, 명절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생기는 환자들도 많아진다. 명절을 맞이하여 다양한 음식들을 먹으면서 체하거나, 위장관염으로 인한 복통, 설사 증상으로 응급실을 찾는 환자도 늘어난다. 놀면서 감기에 걸리는 아이들도 많아진다. 오랜만에 찾아뵌 부모님이나 집안 어른들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엔 보호자들이 빠른 답을 얻기 위해 응급실.. 2023. 10. 2. 패혈증(4) - 혈역학적 안정을 위한 치료(Hemodynamic management) #. Early Goal Directed Therapy - early identification - lactate - cultures - antibiotics - fluid 지난 포스팅에서 패혈증 환자의 초기 처치로 EGDT(early goal directed therapy)에 대해 알아보았다. 패혈증 환자의 치료에서 중요한 것으로 적절한 조직 관류를 유지하고, 이로 인해 몸을 망가뜨리는 극심한 inflammatory reaction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때문에 환자의 혈압을 적절히 유지할 필요가 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수액처치와 승압제를 사용하게 된다. 이를 종합하여 Hemodynamic management라 일컫는다. #. fluid management - 패혈증 또는 패혈증 쇼크 환자의 소생.. 2023. 9. 27. 패혈증(3) - 패혈증 환자의 초기 처치 및 치료 대부분의 패혈증 환자는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게 된다. 따라서 응급실에서 이러한 환자를 잘 선별하고 처치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앞선 포스팅에선 패혈증 환자를 잘 선별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았고, 다양한 방법과 임상의사의 판단에 따라 패혈증이 의심된다면 즉각적인 처치를 시작해야 한다. 패혈증의 초기 치료를 한마디로 EGDT, early goal directed therapy라고 한다. #. Early Goal Directed Therapy- early identification - lactate - cultures - antibiotics - fluid EGDT은 패혈증을 빠르게 확인하고 나중에 치료의 적절성과 항생제 선택에 도움을 받기 위한 검사를 시행하고 치료를 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치료와.. 2023. 9. 25. 패혈증(2) - 패혈증인지 어떻게 알아요? 스크리닝! 지난 포스팅에서 패혈증은 감염으로 다양한 면역작용이 일어나 다양한 장기의 기능상 부전이 생기거나 생기기 쉬운 상태임을 설명하였다. https://emdoc1988.tistory.com/133 패혈증(1) - 패혈증은 무엇일까? 지난 포스팅에선 패혈증과 균혈증의 개념을 비교해 보았다. (https://emdoc1988.tistory.com/124) Sepsis(패혈증), bacteremia(균혈증)이 뭔가요?응급실에서 근무를 하다보면, 환자나 보호자들이 많이 헷갈리는 emdoc1988.tistory.com 그렇다면 응급실에 온 환자가 패혈증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다양한 검사를 종합하여 판단을 해야 정확하겠지만 초기에 적절한 처지를 빠르게 시행하기 위해선 이러한 검사의 결과값들을 기다릴 시간적 여유가 .. 2023. 9. 21. 패혈증(1) - 패혈증은 무엇일까? 지난 포스팅에선 패혈증과 균혈증의 개념을 비교해 보았다. (https://emdoc1988.tistory.com/124) Sepsis(패혈증), bacteremia(균혈증)이 뭔가요?응급실에서 근무를 하다보면, 환자나 보호자들이 많이 헷갈리는 것이 패혈증과 균혈증을 구분하는 것이다. 두 가지 모두 의학용어이기에 정확한 뜻을 알기 어려울테고, 그렇기에 두가지 용어를emdoc1988.tistory.com 이번엔 응급실과 중환자실에서 많이 접하게 되는 패혈증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 패혈증(Sepsis)이란? 감염으로 인한 전신의 광범위한 염증반응을 의미한다. 치명률이 높은 중증의 패혈증은 인구 10만 명당 300~1,000명 정도의 유병률을 보이게 되며, 대부분의 환자들은 초기 응급실을 통해 진료를 .. 2023. 9. 19.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4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