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64 패혈증(7) - 패혈증 환자의 산소공급 및 환기(Ventilation) 패혈증 환자는 필연적으로 숨이 차고 호흡이 가빠질 수밖에 없다. 폐렴과 같은 호흡기감염으로 인한 패혈증, 패혈증 쇼크는 물론 직접적인 호흡기계에 염증을 일으켜 호흡곤란을 유발하지만 다른 경우에서도 숨이 차거나 산소포화도가 떨어져 직접 산소를 공급해줘야 하는 경우가 많다. 왜 그럴까? #. 패혈증 환자가 숨이 차는 이유는?그 이유는 바로 심한 염증 반응으로 인하여 산소요구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우리 몸은 폐에서 받은 산소를 혈액에 녹여 심장이라는 펌프를 이용해 장기와 말단 조직, 세포들에게 산소를 전달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패혈증으로 인해 우리 몸의 염증반응이 심하게 발생하고 이로 인한 cytokine storm(세포 간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물질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상황)으로 인해 발열과 함께 각 조직.. 2023. 11. 1. 패혈증(6) - 감염의 조절, antimicrobial agent(항균제) 일반적으로 감염을 조절하기 위한 약으로 항생제를 쉽게 떠올린다. 하지만, 항생제는 세균에 특화된 항균제일뿐, 다양한 항균제들이 존재한다. 패혈증의 치료의 근간으로 적절한 항생제의 사용이 있는데, 이는 일반적인 감염은 세균에 의한 감염이 많기 때문이다. 그럼 본격적으로 Sepsis guideline의 감염과 관련 내용들을 살펴보도록 하자. #. 항균제 투약과 타이밍 패혈증이나 패혈증 쇼크의 가능성이 높은 환자라면 끊임없이 감염원을 확인하기 위해 환자를 평가해야 하며, 이상적으로는 1시간 이내 항균제의 투약이 이뤄지도록 한다. 만약 환자가 쇼크가 없는 상태에서 패혈증 여부가 불분명하다면, 감염이 아닌 다른 질병상태를 배제하고 되도록이면 3시간 이내 항균제를 투약하길 권고하고 있다. 패혈증, 감염의 가능성이 .. 2023. 10. 29. 늘어나는 독거노인 환자(feat. 인구고령화와 노인빈곤) 지역사회 응급실에서 근무를 해보니, 예전 대학병원에서 근무를 했을때보다 자주 보이는 환자 유형이 있다. 바로 사회경제적으로 여유롭지 못한 독거노인이다. 뉴스나 인터넷이나, SNS 등에서 심심찮게 접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저출산, 고령화 상황은 다들 익히 들어서 알고 있을 것이다.2022년도 통계청 고령자 통계 기록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65세이상 노인인구는 9백만명 수준으로, 전체 인구의 17.5%를 차지하고 있다. 65세 인구가 14%가 넘으면 고령사회, 20%가 넘으면 초고령 사회라고 일컫는다.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사회를 넘어 초고령사회로 달려가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문제는 노인인구의 비율 뿐만이 아니다. 통계청 자료를 참고하면 2020년도 노인인구의 상대적빈곤률은 40%정도 OECD 국가 중에.. 2023. 10. 29. 의식없는 환자는 어떻게 밥을 먹나요? L-tube(Levin tube, nasogastric tube)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사람은 입으로 음식을 먹어서 위장관으로 소화 및 흡수를 하여 영양공급을 한다. 하지만, 의식이 없거나 기관삽관을 해서 필연적으로 입으로 식사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정맥주사를 통한 수액으로 영양공급을 할 수 있으나, 이는 장기간 사용하기 어렵고 정맥을 통한 영양공급보다는 장을 통한 영양공급(이를 경장영양이라고 한다.)이 환자에게 이득이 많기 때문에 추천된다. 그렇다면, 이런 경우엔 어떻게 영양공급을 해야 할까? 이 경우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 바로 nasogastric tube(비위관)이라고 하는 것이다. 임상에서는 제품을 개발한 사람의 이름을 딴 상품명으로 Levin tube, L-tube(엘튜브)라고 부른다. 위 사진처럼 투명하고 기다란 실리콘 튜브로 되어있다. 이 기다란 튜브를 .. 2023. 10. 25. Decerebrate & Decorticate posturing 오늘은 중추신경에 이상이 있을 때 생길수 있는 비정상적 자세(abnormal posture)의 대표인 'Decerebrate posture와 Decorticate posture'에 대해서 공부해보도록 하겠다. Decorticate, decerebrate posturing은 모두 내외부 자극에 의해서 발생하는 pathological posture이다. 두가지 자세 모두 위의 사진처럼 몸통과 사지의 전형적인 운동양상을 보이게 된다. Decorticate posturing은 비정상적인 flexion(굽힘)과 rigidity(강직)을 보이고, decerebrate posture는 비정상적인 extension(폄)과 rigidity(강직)을 보인다. 만약 자신이 치료하고 있는 환자가 위 사진과 같은 운동을 보인다.. 2023. 10. 24. 보호자는 누구인가? 최근 중환자실 근무를 하며 경험했던 케이스를 공유해보고자 한다. 의학적인 내용보다는 환자의 치료를 결정함에 있어서 "누가 보호자인가?"에 대해 생각해 볼 점이 있어 글을 적어보기로 하였다. 환자는 72세 남자로 당뇨병, 관상동맥질환, 심부전, 말초동맥질환으로 23년 초부터 우리 병원에서 진료를 봐왔던 환자이다. 그전에도 다른 병원들을 전전하며 심장질환에 대한 관리를 받았었는데, 상태가 점점 안 좋아지던 터에 우리 병원 심장내과 외래를 방문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외래에서 시행한 심장 관상동맥촬영술의 결과를 보니, 환자는 3VD(3 vessel disease)로 심장을 먹여살리는 3개의 관상동맥 혈관이 모두가 좁아져 있었고, 그 결과 중재술(PCI,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스텐트 삽입술)로는 치료가 쉽.. 2023. 10. 19.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4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