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방194 뇌출혈(1) - 지주막하출혈 (SAH, subarachnoid hemorrahge) 흔히 뇌졸중이라고 하면 혈관이 막혀서 생기는 허혈성 뇌졸중만을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뇌혈관이 터져서 발생하는 뇌출혈도 뇌졸중에 해당하고 전체 뇌졸중 환자의 15% 정도를 차지한다. 뇌출혈은 출혈이 어느 공간에 발생했는지에 따라 subarachnoid hemorrhage (SAH, 지주막하출혈) intracerebral hemorrahge (ICH, 뇌내출혈) subdural hemorrhage (SDH, 경막하출혈) epidural hemorrhage (EDH, 경막외출혈)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뇌실내출혈) 로 구분할 수 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지주막 아래에 생기는 출혈인 SAH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1. 병태생리 - 일부 환자는 외상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2023. 3. 4. 두통(Headache, HA) 두통은 미국에서 응급실로 내원하는 4번째로 흔한 증상이다. 응급실에서는 고위험 원인으로 인한 두통은 전체 두통환자의 4%, 급성 두통(thunderclap headache) 환자의 10~14%에 그친다. 따라서 두통환자 중 고위험군을 선별해야 한다. 1. 병태생리 뇌 실질(brain parenchyme)은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반대로 말하면 두통은 뇌실질의 자극이라기보다는 주변 구조물들의 자극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다. 혈관의 수축과 이완, 주변 신경의 자극, 뇌막의 자극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증상이 생길 수 있고, 반대로 말하면 원인을 잘 모르는 경우도 많다. 2. 두통의 분류 두통의 원인 유무에 따라 primary HA, secondary HA으로 구분한다. 2-1. primary HA (일차성.. 2023. 3. 2. 두통! 도끼로 내리 찍는것 같은 두통엔? CT or MRI 이른 아침 머리가 깨질 듯이 아파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가 있다. 이전에 없던 두통이며, 도끼로 머리를 내리찍는듯한 두통이 갑자기 발생했다고 한다. 이런 병력이라면 누구든 머리 영상검사를 해보고 싶을 것이다. 그렇다면 CT를 촬영해야 할까? MRI를 촬영해야 할까? 답은 바로 CT이다! 실제 응급실에 내원하는 대부분의 두통환자는 brain CT를 촬영한다. 미국에서는 갑자기 발생한 극심한 두통을 thunderclap headache이라고 표현한다. 직역하면 벼락? 번개? 두통 정도 될 것 같은데, 환자분들 중에 너무나 적절한 표현을 한 환자분이 있었다. 그 환자분은 본인의 심한 두통을 '도끼로 내리찍은 듯한 두통'이라고 표현했다. 그 뒤로 나도 환자들을 문진 할 때 도끼로 내리찍는 것과 같은 두통인지 묻곤.. 2023. 3. 1. 요로 감염(UTI, urinary tract infection); 방광염, 신우신염 요로감염(UTI, urinary tract infection)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소변이 만들어지고 이동하고 모이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에 생기는 감염을 뜻한다. 해부학적인 차이로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생기기 쉽고, 남성의 경우엔 전립선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하는 50대 이후에서 발생 비율이 높다. 1. 요로감염의 종류와 의미 #. 무증상 세균뇨 요로감염의 증상은 없는데, 소변배양 검사에서 양성 소견이 확인되는 경우이다. - 여성의 경우엔, 연속된 2번의 소변 배양검사에서 100,000 CFU/mL 이상의 단일 균배양이 확인되는 경우 - 남성의 경우엔, 한 번의 소변배양 검사에서 100,000 CFU/mL 이상의 균배양이 확인되는 경우 - 청결 도뇨관으로 채취한 소변에서 100 CFU/mL 이상.. 2023. 2. 24. 폐렴환자 예후예측; CURB-65, PSI 응급실 또는 외래 환경에서 만나는 폐렴환자 중에서 어떤 환자를 입원시켜야 할까? 누가 봐도 상태가 좋지 않은, 본인 스스로 숨 쉬는 것이 힘들어 산소를 적용해 주거나, 기관삽관/기계호흡을 해야 할 만한 환자들은 고민 없이 입원을 해야 한다.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애매한 상황의 환자들이 많기에 폐렴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입원이 필요한 환자를 고르는 다양한 scoring system이 개발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가장 흔히 사용되는 두 가지! CURB-65와 PSI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PSI : pneumonia severity index, 폐렴 중증도지표. #. CURB-65 / CRB-65 영국, 뉴질랜드, 네덜란드, 3개국의 4개 병원에서 전향적으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된 폐렴 중.. 2023. 2. 23. 지역사회획득 폐렴 - 성인, 항생제 사용지침 폐렴은 노인인구의 가장 흔한 사망원인 중 하나로 원인균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환자 치료에 중요한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성인 환자의 지역사회획득폐렴(CAP, community-acquired pneumonia)의 항생제 사용지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가장 최신의 지침인 2017년도 질병관리본부에서 발행한 '성인 지역사회획득 폐렴 항생제 사용지침'을 참고하였다. 1. 대상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 지역사회획득폐렴(CAP) 2. 국내에서 흔한 원인균 현황 지역사회 원인균은 다른나라와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 - Streptococcus pneumoniae (가장 흔함, 27~69%) : 고령, 동반질환, 급성 경과, 고열, 늑막성 흉통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 H.. 2023. 2. 22.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3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