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공부방204

두통! 도끼로 내리 찍는것 같은 두통엔? CT or MRI 이른 아침 머리가 깨질 듯이 아파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가 있다. 이전에 없던 두통이며, 도끼로 머리를 내리찍는듯한 두통이 갑자기 발생했다고 한다. 이런 병력이라면 누구든 머리 영상검사를 해보고 싶을 것이다. 그렇다면 CT를 촬영해야 할까? MRI를 촬영해야 할까? 답은 바로 CT이다! 실제 응급실에 내원하는 대부분의 두통환자는 brain CT를 촬영한다. 미국에서는 갑자기 발생한 극심한 두통을 thunderclap headache이라고 표현한다. 직역하면 벼락? 번개? 두통 정도 될 것 같은데, 환자분들 중에 너무나 적절한 표현을 한 환자분이 있었다. 그 환자분은 본인의 심한 두통을 '도끼로 내리찍은 듯한 두통'이라고 표현했다. 그 뒤로 나도 환자들을 문진 할 때 도끼로 내리찍는 것과 같은 두통인지 묻곤.. 2023. 3. 1.
요로 감염(UTI, urinary tract infection); 방광염, 신우신염 요로감염(UTI, urinary tract infection)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소변이 만들어지고 이동하고 모이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에 생기는 감염을 뜻한다. 해부학적인 차이로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생기기 쉽고, 남성의 경우엔 전립선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하는 50대 이후에서 발생 비율이 높다. 1. 요로감염의 종류와 의미 #. 무증상 세균뇨 요로감염의 증상은 없는데, 소변배양 검사에서 양성 소견이 확인되는 경우이다. - 여성의 경우엔, 연속된 2번의 소변 배양검사에서 100,000 CFU/mL 이상의 단일 균배양이 확인되는 경우 - 남성의 경우엔, 한 번의 소변배양 검사에서 100,000 CFU/mL 이상의 균배양이 확인되는 경우 - 청결 도뇨관으로 채취한 소변에서 100 CFU/mL 이상.. 2023. 2. 24.
폐렴환자 예후예측; CURB-65, PSI 응급실 또는 외래 환경에서 만나는 폐렴환자 중에서 어떤 환자를 입원시켜야 할까? 누가 봐도 상태가 좋지 않은, 본인 스스로 숨 쉬는 것이 힘들어 산소를 적용해 주거나, 기관삽관/기계호흡을 해야 할 만한 환자들은 고민 없이 입원을 해야 한다.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애매한 상황의 환자들이 많기에 폐렴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입원이 필요한 환자를 고르는 다양한 scoring system이 개발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가장 흔히 사용되는 두 가지! CURB-65와 PSI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PSI : pneumonia severity index, 폐렴 중증도지표. #. CURB-65 / CRB-65 영국, 뉴질랜드, 네덜란드, 3개국의 4개 병원에서 전향적으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된 폐렴 중.. 2023. 2. 23.
지역사회획득 폐렴 - 성인, 항생제 사용지침 폐렴은 노인인구의 가장 흔한 사망원인 중 하나로 원인균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환자 치료에 중요한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성인 환자의 지역사회획득폐렴(CAP, community-acquired pneumonia)의 항생제 사용지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가장 최신의 지침인 2017년도 질병관리본부에서 발행한 '성인 지역사회획득 폐렴 항생제 사용지침'을 참고하였다. 1. 대상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 지역사회획득폐렴(CAP) 2. 국내에서 흔한 원인균 현황 지역사회 원인균은 다른나라와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 - Streptococcus pneumoniae (가장 흔함, 27~69%) : 고령, 동반질환, 급성 경과, 고열, 늑막성 흉통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 H.. 2023. 2. 22.
요로감염, 늘어가는 내성균! 응급실에 초기 방광염 및 요로감염의 증상으로 내원하는 환자들도 많지만, 타원에서 이미 진단을 받고 약을 먹고 있는 상황에서도 증상 호전이 없다고 찾아오는 환자들도 많아지는 것 같다. 요로감염의 가장 중요한 치료는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인데, 아마도 최근 늘어가는 내성균에 의한 문제가 아닌 가 싶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 요로감염(UTI, urinary tract infection)의 흔한 원인균과 내성균 현황, 그에 따른 적절한 항생제 선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내성균은 전 세계적으로도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인데, 지역 사회마다 원인균, 내성분포(어떤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지..)가 다르기에 한국에서 연구한 문헌을 공부해 보도록 하겠다. 2022년도 대한의료관련 감염관리학회에서 게재된 '2018.. 2023. 2. 20.
급성 충수돌기염(acute appendicitis)(2)-치료 최신지견 지난 포스팅에 이어 급성 충수돌기염의 치료에 대하여 최신 지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예전에는 무조건 수술을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최근들어 초기 충수돌기염의 경우엔 수술보다는 비수술적 치료로 접근하는 경우가 많아진 것 같다. 필자의 지식 업데이트를 위해 2020년도 world society of Emergency Surgey (WSES) 그룹에서 발표한 가이드라인에 대해 공부해보고자 한다. World journal of emergency surgery 에 2020년도 게제된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appendicitis: 2020 update of the WSES Jerusalem guidelines (출처 : https://wjes.biomedcentral.com.. 2023.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