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공부방205

조금 특별했던 DKA(당뇨병성 케톤산증), euglycemic DKA 최근 응급실을 통해 중환자실로 입원했던 케이스 중에 내분비내과 선생님에게도 생소했던 케이스가 있어 공유해 본다. 바로 euglycemic DKA, 바로 DKA인데 혈당이 정상 상태에 있는 환자였다. Case report - 36/F - PMHx(Past medical history) : gestational DM, dyslipidemia - medication : rosuvastatin, empagliflozin, metformin - C.C(chief complaint) : 호흡곤란, 오심, 구토 환자는 30대 중반의 여성으로 임신성 당뇨 및 고지혈증 병력이 있어 당뇨약으로 metformin, empagliflozin을 고지혈증 약으로 rosuvastatin을 복용 중이던 분으로, 다이어트를 위해 식사.. 2023. 5. 6.
당뇨병의 응급상황(1) - 저혈당(hypoglycemia)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혈당을 낮추는 약들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약들에 따라 다양한 기전이 있으므로, 특정 약물군에서 저혈당이 발생하기 쉽다. 일반적으로 인슐린이나 sulfonylurea(glipizide, glyburide, chlorpropamide 등)을 사용하는 환자에서 주로 발생한다. glitizones(rosiglitazone, pioglitazone), glinides(repaglinide, nateglinide), alpha-glucosidase inhibitors(acarbose, miglitol), biguanide metformin, incretin analogue(exenatide, liraglutide)로 인한 저혈당은 드물다. #. 임상양상 사람마다 매우 다양할 수 있다. .. 2023. 5. 4.
한쪽눈의 시력이 갑자기 떨어질땐, 의심하라 CRAO! 최근 응급실 근무를 하면서 CRAO 환자를 오랜만에 접할 기회가 있었다. 오랜만에 만난 환자였고, 신경과와 안과 선생님들도 자주 보기 힘든 환자라.. 치료에 관하여 다소 의견이 불일치되는 측면이 있었다.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CRAO, central rentinal artery occlusion에 대해 공부해보려고 한다. 오늘은 AHA의 Stroke journal에서 2021년 3월 게재된 'Management of Central Retinal Artery Occlusion: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을 리뷰했다. #. definition(정의) - CRAO : central retinal artery의 혈류가 throm.. 2023. 4. 25.
대동맥판막의 노화의 결과; 대동맥판막협착(AS, Aortic stenosis) 심장질환 환자가 많은 우리 병원의 특성상 자주 보게 되는 환자군으로 나이가 들어가면서 대동맥판막(aortic valve)의 노화로 인해 생기는 대동맥판막 협착증 환자가 있다. 오늘은 대동맥판막의 구조와 대동맥판막협착에 대해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다. 대동맥 판막 협착은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나가는 길이 좁아지는 지는 것으로, 좁은 관에 물을 흘러 보내는데 더 큰 힘이 필요하기에 좌심실과 좌심방에 커다란 압력이 걸리게 되고, 좁아진 좌심실 배출로(LV outflow tract)로 나가는 혈류량이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협착이 상당히 진행되기 전까지는 별다른 증상을 느끼기는 어렵고, 협착이 상당히 진행되어야 다음과 같은 증상이 생길 수 있다. - 흉통 - 빈맥, 부정맥 - 실신 - 호흡이 가쁘고, 호흡곤란을 .. 2023. 4. 17.
척수 손상이 의심될 땐? - dermatome과 myotome을 이용하자 척추손상이 의심되는 외상환자, 척수를 침범하는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가 내원한다면, 어느 정도 레벨의 척추와 척수신경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을 하고, 검사의 범위를 결정해야 한다. 이번 포스팅은 이러한 환자들에게 신경학적 검진으로 이용하는 dermatome, myotom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뇌신경의 구조는 위 그림에서 보는 것과 처럼 피부 및 말단 장기에서 받은 감각 신호를 배측신경절(dorsal root ganglion)을 거쳐 척수(spinal cord)로 들어가서 각각 비슷한 영역의 신경들끼리 다발을 이뤄 뇌까지 이어지게 된다. 주로 감각 신경의 경로는 척수 신경의 뒤쪽(posterior) 배 측(dorsal)에 위치하게 되고, 운동 신경의 경로는 척수 신경의 앞쪽(anterior) 복측(v.. 2023. 4. 12.
당뇨병(4) - 경구혈당강하제, 인슐린 ** 당뇨병 약물 각론 ** #. Metformin 1. 작용기전 : 인슐린 작용 증강이 주요 기전이다. 간에서 당 생성을 억제하며, 근육이나 지방 조직의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킨다. 2. 메트포민은 혈당강하 효과가 우수하고 체중을 증가시키지 않으며, 저혈당 발생 위험이 낮고 경제적인 약물이다. 3. 용법 : 초기 용량으로 500mg bid(혹은 850mg qd)이며, 하루 최대 2,500mg까지 증량 가능하다. 3. 부작용 - 메트포민은 설사, 복부불편감, 오심, 구역 등의 소화기계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나, 시간이 경과하면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 드물지만 유산혈증(lactic acidosis)이 생길 수 있으므로, 중증의 간장애나 신장장애(GFR 45 mL/min/1.73㎡ 미만일 경우 주의, G.. 2023.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