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공부방191

COPD (만성 폐쇄성 폐질환) (2) 이번 포스팅에서는 COPD의 급성악화와 치료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다. 응급실에서 마주하는 COPD환자는 대부분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AE-COPD 상태인 경우가 많다. #. COPD의 치료 목표 - 질병의 진행 억제 - 증상 완화/건강상태 호전 - 운동능력 향상 - 합병증의 예방과 치료 - 사망률의 감소 - 치료와 관련된 부작용의 예방 또는 최소화 #. 위험인자의 제거 - 금연이 COPD의 예방과 질병의 진행을 감소시키는 가장 효과정인 방법이다. - 직업적으로 다양한 물질에 노출되는 경우, 오염물질에 대한 노출을 예방한다. #. 안정시 COPD 치료 1. 약물치료 1-1. 기관지확장제 - COPD 대증요법의 중심 - 흡입약제를 사용하고, 사용할 경우 흡입기술에 대한 훈련이 필요하다. - β2-작용제.. 2023. 1. 29.
담배 많이 피던 중년이 숨이 찬다면? COPD (만성 폐쇄성 폐질환) (1) 만성폐쇄성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젊은 시절 담배를 많이 피웠던 사람이 나이가 들어 기침, 가래, 호흡곤란이 자주 생긴다면 COPD를 의심해보아야 한다. COPD의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는 흡연이다. 유해한 가스의 흡입으로 인해 폐의 염증반응이 반복되고, 이로 인하여 폐의 비가역적인 손상이 발생하며 만성적으로 폐의 기류제한(공기가 많이 차있는) 상태가 유발되는데, 이를 COPD라고 한다. 가역적으로 기류폐쇄를 보이는 경우를 천식이라고 하며, 천식과 COPD는 다르면서도 비슷한 점이 많기에 요즘엔 하나의 질병 스펙트럼으로 보기도 한다. #. COPD를 의심할 수 있는 증상 - 만성 기침 : 간헐적이거나 매일, 야간에만 있는 경우는 드물다. - .. 2023. 1. 26.
NYHA classfication 심부전! 심장 질환의 종착역이라고 할 수 있는 심부전은 심장 기능의 약화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심부전의 가장 흔한 증상은 호흡곤란, 몸의 부종이다. 따라서 심부전이 있는 경우엔 호흡곤란의 정도를 평가 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호흡곤란의 중증도를 평가함에 있어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것이 바로 NYHA functional classication이다. 여기서 NYHA는 New York Heart Association의 약자이며, 총 4단계로 구분한다. 차트에 기록할때에는 다소 간단히 NYAH fc II 와 같이 표기한다. NYHA fc I - 일상적인 생활이나 활동시 호흡곤란, 피로, 심계항진(두근거림) 의 증상이 없는 경우를 뜻한다. NYHA fc II - 일상적인 생활이나 활동시 약간의.. 2023. 1. 25.
응급실 통증 중 내가 최고! 요로결석!! 응급실 접수 단계부터 옆구리가 아프다며 비명을 지르고 있는 환자가 있다면, 이 환자는 높은 확률로 요로결석일 가능성이 높다. 요로결석은 그만큼 통증 정도가 심하고, 옆구리 통증이라는 비교적 전형적인 증상을 보인다. 그럼 오늘은 응급실에 오는 통증 중 가장 심해 보이는 요로결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Pathophysiology 소변에 녹아있는 용질이 과포화되어 있는 경우, 응집되어 결석이 될 수 있다. 주로는 calcium(칼슘), oxalate (옥살산염), uric acid(요산)과 같은 용질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magnesium이나 citrate는 결석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석의 80%는 calcium oxalate, calcium phosphate 성분으.. 2023. 1. 17.
다제내성균! 중환자실 근무를 서면서 한 번에 다섯 가지 다제내성균이 배양된 환자가 있어 공부를 하며 이번 포스팅을 작성해 본다. 다제내성균은 다양한 항생제에 내성을 갖고 있는 균(bacteria)을 뜻한다. 사람 및 동물에서의 항생제 오남용으로 발생한 것으로 생각되며, 다제내성균에 감염되었을 때 치료 실패와 위중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으로도 문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오늘은 의료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다제내성균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MRSA (methicillin-resistanct St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 methicillin, oxacillin, nafcillin 등에 내성이 있다. - vancomycin, teicoplani.. 2023. 1. 15.
소변이 안나와요.. (급성 배뇨장애) 응급실에 소변이 나오지 않는다며 오는 환자들이 있다. 소변이 방광에 차면서 아랫배가 빵빵해지고 소변보고 싶은 느낌이 들어 미칠것 같지만 소변이 나오지 않는 그런 상태에서 응급실로 내원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경우를 급성배뇨장애 (AUR, acute urinary retention)이라고 한다. AUR은 몇 안되는 비뇨기과적 응급상황이라고 할 수 있겠다. 오늘은 AUR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epidemiology (역학) 배뇨곤란을 겪는 사람은 대부분 남성들이다. 70대 남성은 10명 중에 1명이, 80대 남성은 3명중에 1명이 AUR를 경험한다고 한다. 반면, 여성은 비교적 드물고 10만명당 3명정도의 비율로 이러한 증상이 발생한다고 한다. 2. pathophysiology (발병기전) 2-.. 2023. 1.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