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분류 전체보기282

폐색전증(PTE), 심부정맥 혈전증(DVT)의 위험 요소(Risk Factor) 2023.01.17 - [공부방/심장] - 폐색전증 (PTE, Pulmonary Thromboembolism) 폐색전증 (PTE, Pulmonary Thromboembolism)1. 정의 Pulmonary embolus (PE)는 pulmonary artery(폐동맥)이나 폐동맥에서 분지 된 가지들이 몸에서 기인하는 다름 물질에 의해서 막히는 것을 뜻한다. 주로는 혈전, 종양, 공기, 지방 등에 의해 발생할 수emdoc1988.tistory.com  이번 달 들어 응급실에서 마주한 폐색전증, DVT 환자가 많았다. 이전 포스팅에서 PTE에 대해 정리한 적이 있으나, risk factor에 대한 정리가 빠져 있어 추가로 공부를 해보고 공유하고자 한다. * DVT = Deep Vein Thrombosis (.. 2025. 2. 21.
성인 환자에서의 발열 오늘은 응급의학 교과서 "Rosen's Emergency Medicine"에 나오는 발열(熱) 관련 내용을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요약해 보겠습니다. 발열은 단순히 몸이 뜨거워지는 것 이상으로, 우리 몸이 감염이나 질병에 반응하는 중요한 신호예요. 나이와 건강 상태에 따라 발열이 의미하는 바가 달라지니, 아래에서 핵심 내용을 하나씩 풀어볼게요!(일론머스크가 만든 X 플랫폼의 인공지능인 Grok을 이용하여 정리한 내용이다.)1. 발열이란 무엇일까?정의: 발열은 몸의 체온 조절 중추(뇌의 시상하부)가 평소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점을 올리면서 생겨요. 보통 체온이 38.3°C(100.9°F) 이상이면 발열로 봅니다.발열 vs 고열: 발열은 감염 등에 반응해 몸이 스스로 올리는 온도이고, 고열(체온이 4.. 2025. 2. 19.
실신과 발작을 구분하기 - Syncope과 seizure 일시적인 의식 소실이 있어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들이 있다. 비교적 짧은 수초~수분이내의 의식 소실 이후 별다른 후유증을 남기지 않고 회복을 한 경우엔 실신(syncope)으로 진단하게 되며, 의식 소실과 함께 팔다리의 강직과 떨림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는 발작(seizure)일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하지만 실제로 임상에서 실신과 경련을 구분하기란 쉽지 않다. * 과거 한차례 실신에 대해 정리해본 적이 있다. 이에 대해 궁금하다면 아래 포스팅을 확인해보자!2024.02.08 - [공부방/신경] - 의식 소실 후 완전한 회복 - 실신(Syncope) 의식 소실 후 완전한 회복 - 실신(Syncope)#. 실신이란? Syncope 또는 fainting은 짧은 의식의 소실 이후 별도의 의학적 처치 없이 자.. 2025. 2. 11.
새벽녘 응급실을 찾은 80대 할머니.. 그대 이름은 '어머니' 80세가 넘은 할머니 한분이 응급실에 다급히 들어오신다.  - pH 6.8의 수치를 보이는 췌장염, 장폐색을 동반한 환자 - 대학병원에서 췌장암 수술을 받은 뒤 전이가 발견된 후로 치료를 포기하고 지내며 갑작스런 복통이 찾아온 환자 - 1년전부터 간헐적으로 호흡곤란을 보이던 대동맥판막질환, 관상동맥 질환이 의심되던 심정지 환자. - 흡인성 폐렴이 의심되는 심한 호흡부전의 환자. 한 명만 제대로 보기에도 벅찬 환자들이 여럿이 줄지어 온 탓에 크게 아파 보이지 않는 80대 할머니에게는 모두들 관심을 갖지 못했었다.  심정지 환자의 처치가 어느정도 마무리되어 관상동맥조영술을 하러 검사실에 올려 보냈고 아까 잠시 지나쳤던 80대 할머니를 확인해보니 환자가 아닌, 위에 열거된 첫 번째 환자의 보호자였다.   그 .. 2025. 2. 10.
급성 장동맥 질환 증례 - SMA embolism, 진단을 위한 긴 여정 2025.01.21 - [공부방/기타] - 말초혈관질환(2) - 급성 장동맥 질환 말초혈관질환(2) - 급성 장동맥 질환#. 급성 장동맥 질환 (Acute mesenteric ischemia) 갑작스러운 복통으로 내원 한 환자들 중 장동맥의 폐쇄로 인해 장으로 가는 혈액량이 줄어든 경우가 있다. 최근 타병원에서 SMA(superior mesenteric artery) ememdoc1988.tistory.com  이전 포스팅 이후 얼마되지 않아 급성 장동맥 색전증 환자를 접하게 되었다.  환자는 86세 남성분으로 타 병원에서 r/o NSTEMI라고 전원 문의가 되어 수용하기로 했던 환자였다.  평소 고혈압과 고지혈증이 있어 동네병원에서 약을 타드셨고, 국가 건강검진은 정기적으로 받고 계셨다. 아들 내외와 .. 2025. 2. 6.
한 쪽 얼굴이 마비되었다! 벨마비(Bell’s palsy) #. 벨 마비(Bell's palsy) 1. 벨 마비 (Bell's Palsy)란 무엇인가? 벨 마비, 또는 특발성 안면 마비는 갑자기 얼굴의 한쪽이 마비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주로 안면신경(7번 뇌신경, CN VII, cranial nerve VII)의 염증이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그 원인은 종종 명확하지 않습니다. 증상으로는 한쪽 얼굴의 움직임이 제한되거나, 눈을 감지 못하거나, 입꼬리가 처지는 등이 있습니다. 안면 마비가 발생하기 전후로 해당 측의 귀 주위로 통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주로는 2-3일에 걸쳐 갑작스럽게(acute) 증상이 발생합니다.  다른 뇌신경으로 삼차신경(CN V), 속귀신경(CN VIII), 혀밑신경(CN IX)로도 약간의 이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2. 벨 마비의 .. 2025. 2.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