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공부방191

고나트륨혈증(Hypernatremia)의 원인과 치료 #. Hypernatremia(고나트륨혈증)1. 고나트륨혈증의 정의와 진단- 혈액검사를 통해 혈장 나트륨(sodium) 농도를 확인한다.- serum sodium (Na+)의 농도 > 145 mEq/L 그리고 serum osmolality > 295 mOsm/L1-1. 고나트륨혈증의 분류(환자의 volume status에 따라) 1) hypovolemic hypernatremia  - TBW(total body water, 전체 체내 수분량)의 감소 또는 나트륨의 소실보다 수분의 소실이 큰 경우. 2) hypervolemic hypernatremia  - 나트륨의 증가와 더불어 체내 수분량은 정상 또는 증가 상태인 경우. 3) normovolemic hypernatremia  - 전체 나트륨은 거의 정상.. 2024. 12. 6.
덤핑 증후군이란?(dumping syndrome) 2024.11.26 - [공부방/위장관] - 비만 수술? 위소매절제술(gastric sleeve surgery) 비만 수술? 위소매절제술(gastric sleeve surgery)최근 응급실에 비만치료의 일환으로 위소매절제술(gastric sleeve surgery)을 받은 뒤 발생한 복통으로 내원 한 환자가 있었고, 그 환자의 CT를 해석하는데 난해함이 있었기에 이에 대한 공부를 해보려emdoc1988.tistory.com 지난 포스팅에 이어 비만 수술 후 흔한 합병증 중 하나인 덤핑 증후군에 대해 공부해보고자 한다. 단순히 작아진 위장으로 인한 소화불량의 증상만 보이는 것이 아니다. 작아진 위장으로 인해 다양한 생리적 변화들이 유발되어 하나의 신드롬(sydrome=증후군)으로 불리는 것이다.  #. .. 2024. 11. 30.
비만 수술? 위소매절제술(gastric sleeve surgery) 최근 응급실에 비만치료의 일환으로 위소매절제술(gastric sleeve surgery)을 받은 뒤 발생한 복통으로 내원 한 환자가 있었고, 그 환자의 CT를 해석하는데 난해함이 있었기에 이에 대한 공부를 해보려고 한다. 나도 수술을 하는 의사는 아니기에, 이 수술을 집도하는 외과 선생님들만큼 전문적인 지식은 없다.따라서 최대한 정리해보고자 한다. #. 위소매절제술이란?- 정식 이름은 gastric sleeve gastrectomy라고 하며, bariatric surgery라고도 부른다.- 우측 그림처럼 위(stomach)에서 음식물을 담는 주머니를 절제하여 옷의 소매(sleeve)와 비슷한 형태로 위장을 만들어 주기에 sleeve surgery라고 부르는 것!- 물리적으로 위의 용량을 줄여 음식물의 소.. 2024. 11. 26.
응급실에서 임신 테스트를 하는 이유 응급실에 내원한 가임기 여성분들을 대상으로 소변 현장검사를 통한 임신 여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간단한 검사이긴 하지만소변을 받아야 하기에 그만큼 검사 및 투약 시간이 지연 됩니다. 하지만 본인이 임신 가능성이 없다 하더라도모든 피임법의 피임성공률이 100%가 아니므로 최근 마지막 생리사이클 이후 성관계 경험이 있다면 임신 가능성이 있는 것입니다.따라서 약물이나 방사선에 영향을 많이 받을수 있는 임신 초기에 이러한 노출을 예방하기 위해응급실에선 가임기 여성분들을 대상으로 임신테스트를 시행하곤 합니다. 2024. 11. 25.
응급실에서 보는 고혈압 - Hypertensive crisis(고혈압 위기) 2024.11.16 - [공부방/심장] - 혈압이 높다면 응급실에 가야 하나요? 혈압이 높다면 응급실에 가야하나요?혈압이 높다며 응급실을 방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분들의 경우 대부분 본인의 증상보다는 혈압 수치, 즉 숫자가 얼마인데 하면서 응급실을 방문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emdoc1988.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선 응급실에서 보는 고혈압과 관련된 응급 상황에 대해 공부하며, 어떤 경우 응급실에 방문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 고혈압 위기(Hypertension Crisis) - 일시적으로 혈압이 높은 것이 아닌, 어떤 질병 상태가 동반되거나 동반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을 의미한다. - 말단장기의 손상(End-organ damage) 여부에 따라 hypertensive eme.. 2024. 11. 20.
혈압이 높다면 응급실에 가야하나요? 혈압이 높다며 응급실을 방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분들의 경우 대부분 본인의 증상보다는 혈압 수치, 즉 숫자가 얼마인데 하면서 응급실을 방문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 특별히 응급실에서 할 처치는 없습니다.  사람의 혈압은 '상수'처럼 정해진 수치가 아니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수치이며 사람은 주로 낮에 활동하기에 아침에 surge가 생겼다가 밤이 되면 떨어지는 패턴을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일변화에는 호르몬의 영향이 큽니다. 혈압은 신체 활동이나, 신체적/심리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의 분비, 교감신경의 활성화를 통해 상승하며, 반대로 휴식과 안정 시에는 반대 작용으로 인해 혈압이 떨어지는 상태가 됩니다. 예를 들어, 100미터 달리기를 하고난 뒤 활력징후를 측정하면.. 2024. 11.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