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공부방191

급성 장동맥 질환 증례 - SMA embolism, 진단을 위한 긴 여정 2025.01.21 - [공부방/기타] - 말초혈관질환(2) - 급성 장동맥 질환 말초혈관질환(2) - 급성 장동맥 질환#. 급성 장동맥 질환 (Acute mesenteric ischemia) 갑작스러운 복통으로 내원 한 환자들 중 장동맥의 폐쇄로 인해 장으로 가는 혈액량이 줄어든 경우가 있다. 최근 타병원에서 SMA(superior mesenteric artery) ememdoc1988.tistory.com  이전 포스팅 이후 얼마되지 않아 급성 장동맥 색전증 환자를 접하게 되었다.  환자는 86세 남성분으로 타 병원에서 r/o NSTEMI라고 전원 문의가 되어 수용하기로 했던 환자였다.  평소 고혈압과 고지혈증이 있어 동네병원에서 약을 타드셨고, 국가 건강검진은 정기적으로 받고 계셨다. 아들 내외와 .. 2025. 2. 6.
한 쪽 얼굴이 마비되었다! 벨마비(Bell’s palsy) #. 벨 마비(Bell's palsy) 1. 벨 마비 (Bell's Palsy)란 무엇인가? 벨 마비, 또는 특발성 안면 마비는 갑자기 얼굴의 한쪽이 마비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주로 안면신경(7번 뇌신경, CN VII, cranial nerve VII)의 염증이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그 원인은 종종 명확하지 않습니다. 증상으로는 한쪽 얼굴의 움직임이 제한되거나, 눈을 감지 못하거나, 입꼬리가 처지는 등이 있습니다. 안면 마비가 발생하기 전후로 해당 측의 귀 주위로 통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주로는 2-3일에 걸쳐 갑작스럽게(acute) 증상이 발생합니다.  다른 뇌신경으로 삼차신경(CN V), 속귀신경(CN VIII), 혀밑신경(CN IX)로도 약간의 이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2. 벨 마비의 .. 2025. 2. 4.
말초혈관질환(2) - 급성 장동맥 질환 #. 급성 장동맥 질환 (Acute mesenteric ischemia) 갑작스러운 복통으로 내원 한 환자들 중 장동맥의 폐쇄로 인해 장으로 가는 혈액량이 줄어든 경우가 있다. 최근 타병원에서 SMA(superior mesenteric artery) embolism 환자가 전원 온 적이 있었다. 자주 보는 질환이 아니라 어떤 점을 고려하고, 어떤 치료법을 고려할 수 있는지가 바로 떠오르지 않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와 관련된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1. 장동맥의 해부학적 구조  대동맥에서 분지되어 나오는 상장간막동맥(SMA, superiror mesenteric artery)과 하장간막동맥(IMA, inferior mesenteric artery)를 통해 대부분의 소장, 대장이 혈류를 공급받고 있다. .. 2025. 1. 21.
패혈증 최신지견 (Sepsis and Septic shock) 24년도 12월 5일 NEJM에 발표된 패혈증 리뷰 논문. 논문 리뷰에 앞서 이전에 정리한 포스팅, 패혈증에 대해서 궁금하다면?2023.09.19 - [공부방/중환자의학] - 패혈증(1) - 패혈증은 무엇일까? 패혈증(1) - 패혈증은 무엇일까?지난 포스팅에선 패혈증과 균혈증의 개념을 비교해 보았다. (https://emdoc1988.tistory.com/124) Sepsis(패혈증), bacteremia(균혈증)이 뭔가요?응급실에서 근무를 하다보면, 환자나 보호자들이 많이 헷갈리는emdoc1988.tistory.com 다시 본론으로 넘어와서..논문의 포인트를 위주로 보면..- 폐혈증은 세균/진균/기생충/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초래되는 급성 장기부전으로 생명에 위협이 되는 증후군(신드롬)을 일컫는다.- .. 2025. 1. 13.
비만 대사 수술 이후 발생한 합병증 증례 2024.11.26 - [공부방/위장관] - 비만 수술? 위소매절제술(gastric sleeve surgery) 비만 수술? 위소매절제술(gastric sleeve surgery)최근 응급실에 비만치료의 일환으로 위소매절제술(gastric sleeve surgery)을 받은 뒤 발생한 복통으로 내원 한 환자가 있었고, 그 환자의 CT를 해석하는데 난해함이 있었기에 이에 대한 공부를 해보려emdoc1988.tistory.com 최근 포스팅으로 다룬 비만 수술(위소매절제술)을 시행한 환자가 급성 복통으로 응급실을 찾았다.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으로개인적인 공부를 위해 기록으로 남겨둔다. 50대 후반 남성 비만, 고혈압, 뇌졸중 병력까지 있음.대사질환에 대한 치료를 위해 위소매절제술을 선택하여 시행하였고, 수술.. 2024. 12. 11.
말초혈관질환(1) - 폐쇄동맥경화증(ASO) #. 급성 다리 동맥 질환 - atheriosclerosis obliterans다리 동맥의 허혈을 감별하기 위해 유용한 1차 검사.1. ABI(ankle-brachial index) - 팔은 상박(brachial artery)에서 측정한다. - 다리는 발목에서 측정한다. 무릎 근처에서 측정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수축기 혈압으로 계산한다. - 각 발목에서의 수축기 혈압 / 양측 팔 혈압 중 더 높은 수축기 혈압 - 0.9 이하 비정상이며, 낮을수록 허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 너무 높다면 ( >1.2) 위음성 일 수 있으므로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2. 응급실에서의 진단은 주로 Enhanced CT!!- 조영 된 혈관이 하얗게 보이게 되는데, 뼈나 칼슘의 밝기와 비슷 밝기로 보이게 된다.. 2024. 12.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