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방/폐20 기흉(pneumothorax) 폐에는 본래 공기가 들어있다. 그러나 폐가 들어있는 공간인 흉강(pleural cavity)에는 공기가 들어있어선 안된다. 여기에 공기가 차는 것은 질병상황으로 이를 기흉이라 일컫는다. ##. 기흉(pneumothorax)1. 정의 정상적으로는 공기가 존재하지 말아야 할 흉강에 gas가 존재하는 상태. 2. 분류2-1. 자발성 기흉(spontaneous pneumothorax) - 외상 없이 자연적으로 발생한 기흉을 말한다. 1) 일차성 기흉(primary pneumothorax) : 기저폐질환이 없는 사람에서 발생. 대개 키가 크고 마른 체형에서 흔하며 작은 apical pleural bleb의 rupture로 발생한다. 2) 이차성 기흉(secondary pneumothorax) : COPD와 같이 .. 2024. 1. 30. 폐렴환자 예후예측; CURB-65, PSI 응급실 또는 외래 환경에서 만나는 폐렴환자 중에서 어떤 환자를 입원시켜야 할까? 누가 봐도 상태가 좋지 않은, 본인 스스로 숨 쉬는 것이 힘들어 산소를 적용해 주거나, 기관삽관/기계호흡을 해야 할 만한 환자들은 고민 없이 입원을 해야 한다.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애매한 상황의 환자들이 많기에 폐렴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입원이 필요한 환자를 고르는 다양한 scoring system이 개발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가장 흔히 사용되는 두 가지! CURB-65와 PSI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PSI : pneumonia severity index, 폐렴 중증도지표. #. CURB-65 / CRB-65 영국, 뉴질랜드, 네덜란드, 3개국의 4개 병원에서 전향적으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된 폐렴 중.. 2023. 2. 23. 지역사회획득 폐렴 - 성인, 항생제 사용지침 폐렴은 노인인구의 가장 흔한 사망원인 중 하나로 원인균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환자 치료에 중요한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성인 환자의 지역사회획득폐렴(CAP, community-acquired pneumonia)의 항생제 사용지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가장 최신의 지침인 2017년도 질병관리본부에서 발행한 '성인 지역사회획득 폐렴 항생제 사용지침'을 참고하였다. 1. 대상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 지역사회획득폐렴(CAP) 2. 국내에서 흔한 원인균 현황 지역사회 원인균은 다른나라와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 - Streptococcus pneumoniae (가장 흔함, 27~69%) : 고령, 동반질환, 급성 경과, 고열, 늑막성 흉통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 H.. 2023. 2. 22. COPD의 호흡곤란 평가 (mMRC, CAT) COPD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의 호흡곤란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가 있다. mMRC scale과 CAT 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척도들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두 가지 척도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 mMRC(modified Medical Research Council) 호흡곤란 점수 호흡기 환자(주로는 COPD)들이 일상생활을 할 때 숨찬 정도를 평가하여 0~4점 사이의 점수를 매긴다. 0 점은 일상생활을 함에 있어 호흡곤란이 없는 상태이고, 4점은 숨이 차서 아주 간단한 일도 하기 힘든 상태를 뜻한다. 0 - 힘든 운동을 할 때만 숨이 차다. 1 - 평지를 빨리 걷거나, 약간 오르막길을 걸을 때 숨이 차다. 2 - 평지를 걷을 때 숨이 차서 동년배보다 천천히 걷거나, 자신의 속도로 걸어도 숨이 차.. 2023. 1. 30. COPD (만성 폐쇄성 폐질환) (2) 이번 포스팅에서는 COPD의 급성악화와 치료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다. 응급실에서 마주하는 COPD환자는 대부분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AE-COPD 상태인 경우가 많다. #. COPD의 치료 목표 - 질병의 진행 억제 - 증상 완화/건강상태 호전 - 운동능력 향상 - 합병증의 예방과 치료 - 사망률의 감소 - 치료와 관련된 부작용의 예방 또는 최소화 #. 위험인자의 제거 - 금연이 COPD의 예방과 질병의 진행을 감소시키는 가장 효과정인 방법이다. - 직업적으로 다양한 물질에 노출되는 경우, 오염물질에 대한 노출을 예방한다. #. 안정시 COPD 치료 1. 약물치료 1-1. 기관지확장제 - COPD 대증요법의 중심 - 흡입약제를 사용하고, 사용할 경우 흡입기술에 대한 훈련이 필요하다. - β2-작용제.. 2023. 1. 29. 담배 많이 피던 중년이 숨이 찬다면? COPD (만성 폐쇄성 폐질환) (1) 만성폐쇄성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젊은 시절 담배를 많이 피웠던 사람이 나이가 들어 기침, 가래, 호흡곤란이 자주 생긴다면 COPD를 의심해보아야 한다. COPD의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는 흡연이다. 유해한 가스의 흡입으로 인해 폐의 염증반응이 반복되고, 이로 인하여 폐의 비가역적인 손상이 발생하며 만성적으로 폐의 기류제한(공기가 많이 차있는) 상태가 유발되는데, 이를 COPD라고 한다. 가역적으로 기류폐쇄를 보이는 경우를 천식이라고 하며, 천식과 COPD는 다르면서도 비슷한 점이 많기에 요즘엔 하나의 질병 스펙트럼으로 보기도 한다. #. COPD를 의심할 수 있는 증상 - 만성 기침 : 간헐적이거나 매일, 야간에만 있는 경우는 드물다. - .. 2023. 1. 26.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