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방/폐20 ARDS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급격히 진행하는 폐의 광범위한 부분에 발생하는 염증성 손상을 뜻한다. 1. 임상 소견 환자가 호흡곤란의 지속적인 악화와 함께 산소요구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흉부 영상소견에서 폐침윤의 악화 소견이 확인된다. tachypnea, tachycardia, 청진상 diffuse crackle확인된다. 일반적으로는 원인이 되는 event 가 발생한지 6~72시간 이내에 발생한다. 2. etiology(발병원인) of ARDS - sepsis - aspiration pneumonitis - infectious pneumonia (including mycobacterial, viral, fungal, parasitic) - severe trauma and/or multiple frac.. 2023. 1. 3.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환자의 저용량 환기법 프로토콜 겨울이 되고 날이 추워지면서 호흡기 환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겨울마다 찾아오는 독감(influenza) 환자는 물론 3년째 우리를 괴롭히고 있는 covid-19 바이러스 감염 환자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때문에 응급실은 물론, 중환자실에서도 급성 호홉부전을 보이는 환자들이 많고, 개중에는 ARDS까지 생겨 기관삽관 및 기계호흡을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오늘은 기계호흡장치로도 체내 산소포화도 유지가 충분하지 않을때에 해볼 수 있는 저용량 환기법에 대하여 공부해보도록 하겠다. 기계환기(mechanical ventilation)을 할 때 표준적인 일회호흡량(tidal volume)은 10~15 ml/kg 인데, 이는 사람이 편하게 호흡하는 일회호흡량인 6~7 ml/kg의 두배에 해당한다. 급성 호흡곤란 .. 2022. 12. 19.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