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에는 본래 공기가 들어있다. 그러나 폐가 들어있는 공간인 흉강(pleural cavity)에는 공기가 들어있어선 안된다.
여기에 공기가 차는 것은 질병상황으로 이를 기흉이라 일컫는다.
##. 기흉(pneumothorax)
1. 정의
정상적으로는 공기가 존재하지 말아야 할 흉강에 gas가 존재하는 상태.

2. 분류
2-1. 자발성 기흉(spontaneous pneumothorax)
- 외상 없이 자연적으로 발생한 기흉을 말한다.
1) 일차성 기흉(primary pneumothorax)
: 기저폐질환이 없는 사람에서 발생. 대개 키가 크고 마른 체형에서 흔하며 작은 apical pleural bleb의 rupture로 발생한다.
2) 이차성 기흉(secondary pneumothorax)
: COPD와 같이 기저폐질환이 있는 사람에서 발생.
2-2. 외상성 기흉(traumatic pneumothorax)
- 외상과 관련하여 생기는 기흉
1) 의인성 기흉(iatrogenic pneumothorax)
: 진단이나 치료를 위한 의학적 시술과 관련되어 발생.
2) 비의인성 기흉(non-iatrogenic pneumothorax)
: 의학적 시술과 상관없이 다른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흉.
2-3. 긴장성 기흉
: 흉강 내 기압이 대기압보다 높은 상태로 기흉이 발생한 흉강 내 폐가 펼쳐지지 못하고 쪼그라든 형태를 보이게 된다.
주로는 기계호흡을 통한 양압환기(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중에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Cardiopulmonary compromise를 유발하므로 응급상황에 해당한다.

3. 치료
3-1. 자발성 기흉
1) 일차성 자발성 기흉
- 크기가 크지 않은 경우 : oxygen supply(산소공급)을 통해 자연적으로 free-air가 흡수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기흉으로 인한 free air를 simple aspiration을 통해 제거하기도 한다.
- 크기가 큰 경우 : chest tube(흉관) 삽입.

- 재발하는 경우 : 흉막 유착술, 기흉이 유발되는 원인이 되는 흉강에 화학적 물질을 통한 유착을 유발해 미세한 공기누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한다.
- 폐가 잘 펴지지 않을 경우 : 폐에서 흉강으로 새는 공기의 양이 많다는 의미이므로, 이런 경우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VATS(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를 통해 pleurodesis(흉막유착술) 또는 bleb/bullae 결찰술, 절제술 등을 시행하게 된다.
** VATS(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비디오 흉강경 수술, 흉곽에 3~4군데의 1~2cm 이내의 작은 구멍을 뚫고 해당 구멍으로 비디오 및 집게 및 스테이플러(stapler)등을 넣어 수술을 하게 된다. 복부에서 시행하는 복강경 수술과 방법적으로는 동일하다.

2) 이차성 자발성 기흉
- 대부분 흉막 유착술이나 VATS로 재발 예방이 필요하다.
3-2. 외상성 기흉
- 의인성(iatrogenic) 기흉 : 대부분 oxygen supplement, simple aspiration으로 치료 가능
- 비의인성 기흉 : 흉관 삽입이 필요함.
3-3. 긴장성 기흉
- 응급으로 large-bore needle aspiration을 시도
- 이후, 흉관 삽입 후 유지가 필요하다.
'공부방 > 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례로 알아보는 재팽창성 폐부종(Re-expansion pulmonary edema) (0) | 2024.02.01 |
---|---|
자발성 기흉(spontaneous pneumothorax) - 응급실에선 어떻게 처치하나? (2) | 2024.01.31 |
폐렴환자 예후예측; CURB-65, PSI (0) | 2023.02.23 |
지역사회획득 폐렴 - 성인, 항생제 사용지침 (0) | 2023.02.22 |
COPD의 호흡곤란 평가 (mMRC, CAT) (0) | 2023.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