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공부방/폐

담배 많이 피던 중년이 숨이 찬다면? COPD (만성 폐쇄성 폐질환) (1)

by 응닥하라 2023. 1. 26.
반응형

만성폐쇄성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젊은 시절 담배를 많이 피웠던 사람이 나이가 들어 기침, 가래, 호흡곤란이 자주 생긴다면

COPD를 의심해보아야 한다.

COPD의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는 흡연이다.

유해한 가스의 흡입으로 인해 폐의 염증반응이 반복되고, 이로 인하여 폐의 비가역적인 손상이 발생하며 

만성적으로 폐의 기류제한(공기가 많이 차있는) 상태가 유발되는데, 이를 COPD라고 한다.

 

가역적으로 기류폐쇄를 보이는 경우를 천식이라고 하며, 천식과 COPD는 다르면서도 비슷한 점이 많기에 요즘엔 하나의 질병 스펙트럼으로 보기도 한다.

 

#. COPD를 의심할 수 있는 증상

- 만성 기침 : 간헐적이거나 매일, 야간에만 있는 경우는 드물다.

- 만성 객담

- 호흡곤란 : 진행성(점차악화), 지속적(매일), 운동시 악화, 호흡기 감염 중에 악화

- 위험인자 노출 : 흡연, 직업적인 먼지/화학물질에 노출, 요리 및 난방 연료에서 발생하는 연기

- 주로는 중년기에 시작되고, 서서히 느리게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 천식, 심부전, 기관지 확장증, 결핵, 폐쇄성 기관지염, 미만성 세기관지염 등의 질환과 감별이 필요하다.

 

#. COPD의 병기 분류

- 중등도를 네가지 단계로 분류한다.

- 폐활량측정법(PFT, pulmonary function test)에 의해 측정되는 기류제한의 정도에 따라 분류한다.

중증도에 따른 COPD의 분류 (출처 : 대한내과학회 COPD 진료지침)

* PFT 

- FVC (forced vital capacity, 노력성 폐활량) : 숨을 최대한 들이마신 이후 최대한으로 내쉬었을 때의 공기량을 뜻한다. 

- FEV1(forced expiratory volume, 노력성 호기량) : 1초동안 최대한 내쉴 수 있는 공기량을 뜻한다.

 

출처 : https://kaim.or.kr/files/guide/%ED%98%B8%ED%9D%A1%EA%B8%B0_09.pdf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