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3.01.17 - [공부방/심장] - 폐색전증 (PTE, Pulmonary Thromboembolism)
폐색전증 (PTE, Pulmonary Thromboembolism)
1. 정의 Pulmonary embolus (PE)는 pulmonary artery(폐동맥)이나 폐동맥에서 분지 된 가지들이 몸에서 기인하는 다름 물질에 의해서 막히는 것을 뜻한다. 주로는 혈전, 종양, 공기, 지방 등에 의해 발생할 수
emdoc1988.tistory.com
이번 달 들어 응급실에서 마주한 폐색전증, DVT 환자가 많았다.
이전 포스팅에서 PTE에 대해 정리한 적이 있으나, risk factor에 대한 정리가 빠져 있어 추가로 공부를 해보고 공유하고자 한다.
* DVT = Deep Vein Thrombosis (심부정맥 혈전증)
* PTE = Pulmonary ThromboEmbolism (폐색전증, Pulmonary embolism, PE라고도 함)
#. PTE, DVT 의 위엄인자(risk factor)
- 나이: 60세 이상에서 위험도가 증가합니다.
- 장기적인 부동 상태: 장시간 앉아 있거나 침대에 누워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장거리 비행이나 입원 중에 위험합니다.
- 수술 또는 부상: 특히 다리나 골반 부위의 수술이나 부상이 위험을 높입니다.
- 임신 및 산후 기간: 호르몬 변화와 정맥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위험이 증가합니다.
- 유전적 또는 후천적 응고 장애: 혈액이 더 쉽게 응고되는 상태입니다.
- 환자의 질병 상태: 암, 심부전, 염증성 질환, 감염 등이 포함됩니다.
- 비만 및 흡연: 생활 습관과 관련된 위험 요인입니다.
- 가족력: DVT 또는 PE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위험도가 높습니다.
- 탈수: 특히 심한 탈수 상태에서 위험합니다.
- 장거리 여행: 특히 비행기로의 장거리 여행이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 특정 약물: 피임약, 호르몬 대체 요법 등이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응급실에서 진단된 케이스는 피임약을 먹고 있던 여성에서 발생한 DVT, PTE
최근 교통사고로 좌측 무릎 십자인대 손상이 생기고, 부목을 적용한 상태로 수술을 기다리던 중 발생한 DVT, PTE
위암으로 치료를 하고 있던 중 발생한 DVT, PTE 케이스였다.
본인이 위와 같은 위험인자에 해당하는 요소가 있으며, 다리의 부종이나 통증이 생기고 가슴 답답하며 숨찬 소견이 생긴다면 심부정맥혈전(DVT), 폐색전증(PTE)을 의심해 봐야 하겠다.
반응형
'공부방 > 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기폐(Atelectasis, collapsed Lung) - 증례 (0) | 2024.08.24 |
---|---|
폐에 공기가 빠지면? - 무기폐(Atelectasis, collapsed Lung) (0) | 2024.08.23 |
흉부 x ray의 해석 - 체계적인 접근법(chest PA) (0) | 2024.08.15 |
흉부 x선 촬영에 대해(3) - chest x ray로 보이는 것들 (0) | 2024.07.17 |
흉부 x선 촬영에 대해(1) - 흉부 x ray의 종류 (0) | 2024.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