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공부방/신경26

이석증(BPPV, 양성 돌발성 체위 현훈) - LC(수평반고리관) 지난 포스팅에 이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BPPV의 수평반고리관(측반고리관)에서 발생한 이석증에 관하여 공부해 보겠다.2024.06.07 - [공부방/신경] - 이석증(BPPV, 양성 돌발성 체위 현훈) - PC(뒤쪽반고리관) 이석증(BPPV, 양성 돌발성 체위 현훈) - PC(뒤쪽반고리관)#. BPPV의 병태생리1. 관내결석이론- 반고리뼈관내에서 이석에 의해 발생한 내림프(endolymph)의 이동2 팽대부정결석이론 - 이석이 팽대부정에 부착되어 직접 자극되는 것 반고리관(semicircular canal)emdoc1988.tistory.com LC-BPPV는 기본적으로 Head roll test를 통해 진단한다.Head roll test는 천장을 보고 누운 자세에서 고개를 좌우로 돌려가며 검사를 하게 된.. 2024. 6. 13.
이석증(BPPV, 양성 돌발성 체위 현훈) - PC(뒤쪽반고리관) #. BPPV의 병태생리1. 관내결석이론- 반고리뼈관내에서 이석에 의해 발생한 내림프(endolymph)의 이동2 팽대부정결석이론 - 이석이 팽대부정에 부착되어 직접 자극되는 것 반고리관(semicircular canal)은 한 쪽 끝에 직경이 2배정도 큰 패대부릉(crista ampullaris)이 있고, 이곳에 팽대부정(ampulla)이 위치하여 내림프(endolymph)의 회전을 감지하여 그 안에 있는 유모세포가 흥분,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1,2와 같은 기전으로 전정안구반사(Vestibulo-ocular reflex, VOR)가 발생하여 비정상적으로 편위된 안구를 중추신경계에 의해 교정하려는 안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안진의 움직임으로 나는 가만히 있는데도 불구하고 빙글빙글 도는 듯한.. 2024. 6. 12.
급성 뇌졸중(acute stroke)에서 Perfusion CT의 역할! 요즘엔 응급실로 내원하는 급성 뇌졸중(Acute stroke) 환자에게 perfusion CT(관류 CT)를 촬영하고 있다. 성공적인 혈전용해치료(Thrombolysis)를 통해 가역적으로 회복될 수 있는 허혈 부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급성기 뇌졸중이 생기면 뇌조직에 혈류가 차단된다. 뇌조직에 혈류가 차단되면, 조직을 구성하는 뇌세포는 필요한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지 못하므로 서서히 죽어가게 된다. 혈전용해치료(Thrombolysis) 혈전으로 막혀버린 뇌동맥을 뚫어줌으로써 허혈이 생긴 뇌조직을 살리고자 하는 데 있다. 하지만 뇌혈관을 뚫어준다고 해서 모든 조직이 살아나는 것은 아니다. 혈전용해치료를 통해 회복될수 있는 뇌조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속이 줄어든다. 또한, 일정 수준 이상의 망가져버린 .. 2024. 5. 25.
응급실 증례 - critical time을 놓친 뇌졸중 환자(MCA infarction) 뇌졸중, 그중에서도 혈관이 막혀서 생기는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infarction)은 원인과 치료에 따라 예후가 천차만별일 수 있어, 빠른 검사와 처치가 중요하다.  보통 이러한 환자를 선별하기 위해 뇌졸중 의심환자가 오면 각 병원에서는 stroke CP(clinical pathway)를 이용하여 빠른 진단 및 치료를 위한 프로세스를 운용하고 있다.https://emdoc1988.tistory.com/18 초급성 뇌졸중 환자가 응급실에 오면 (Stroke CP에 대하여..)내가 일하는 응급실에선 초급성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stroke CP (clinical pathway)를 적용하고 있다. CP란 같은 증상 및 진단으로 내원하는 환자를 체계적으로 진료 하기 위해 병원의 여러 파트(.. 2024. 5. 22.
빙글빙글 어지러워요 - 이석증(BPPV -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응급실 근무를 하다 보면 이른 아침 또는 새벽에 응급실을 찾는 환자들의 흔한 증상이 있는데, 바로 어지럼증이다. 이상하게도 다른 시간대보다 아침시간에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어지럼증은 정말 다양한 요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응급의학 교과서 중 하나인 "Tintinalli"의 어지럼증(Vertigo) 파트를 보면  위와 같이 어지럼증의 원인이 될만한 질병들에 대해 '간단히'정리했지만 방대해진 표를 확인할 수 있다.  우리몸의 회전을 물리적으로 느끼고,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고, 뇌로 전달하는 과정은 물론 그 신호를 해석하고 어지럽다고 느끼는 충추신경계에 이르기까지 그 경로중 어느 한군데만 이상이 있어도 어지럼증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한 원인이라고 할.. 2024. 5. 18.
응급실에 실신 환자가 온다면? - 실신의 평가 및 syncope rule 응급실에 실신환자가 왔다면? 실신은 신경학적 이상 소견 없이 의식의 회복이 되므로, 당장에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실신의 원인을 확인하여 현재 그리고 잠재적인 위험도 및 사망에 대한 위험도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실신 전 상황은 물론 환자의 병력을 면밀히 파악하고, 신체검진 및 ECG 해석, 추가검사가 필요하다. #. 환자의 평가 1. 병력 - 환자는 물론, 실신을 목격한 사람이 있다면 목격자의 진술까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 환자의 자세, 환경적 요소, 스트레스 요소, 전조증상(쓰러질 것 같은 느낌, 두통, 어지럼증, 복시, 국소적인 힘 빠짐 등), 흉통, 심계항진(두근거림) 동반여부를 확인한다. - 의식 소실이 대략 어느 정도 지속되었는지 확인한다. - 쓰러지기 전 보였던 증상과 .. 2024. 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