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공부방/신경26

의식 소실 후 완전한 회복 - 실신(Syncope) #. 실신이란? Syncope 또는 fainting은 짧은 의식의 소실 이후 별도의 의학적 처치 없이 자발적으로 회복되어 평소의 의식 및 신체 기능상태를 회복하는 경우를 뜻한다. 실제 의식을 잃지는 않았으나, 쓰러질 것 같은 느낌을 느끼는 경우를 pre-syncope이라 한다. #. 실신은 왜 생기는가? 실신이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할 수 있으나, 직접적인 기전은 동일하다. 대략 10초 정도 대뇌 피질이나 뇌간의 그물활성계(RAS, reticular activating system)로 공급되는 혈류나 영양이 중단되거나, 평소 혈류의 35~50% 정도로 감소한 경우에 나타날 수 있다. 흔히 갑작스럽고 돌발적인 사건(inciting event)에 의해 심박출량이 갑작스럽게 감소하고 뇌로 가는 혈류의 감소로 인.. 2024. 2. 8.
Decerebrate & Decorticate posturing 오늘은 중추신경에 이상이 있을 때 생길수 있는 비정상적 자세(abnormal posture)의 대표인 'Decerebrate posture와 Decorticate posture'에 대해서 공부해보도록 하겠다. Decorticate, decerebrate posturing은 모두 내외부 자극에 의해서 발생하는 pathological posture이다. 두가지 자세 모두 위의 사진처럼 몸통과 사지의 전형적인 운동양상을 보이게 된다. Decorticate posturing은 비정상적인 flexion(굽힘)과 rigidity(강직)을 보이고, decerebrate posture는 비정상적인 extension(폄)과 rigidity(강직)을 보인다. 만약 자신이 치료하고 있는 환자가 위 사진과 같은 운동을 보인다.. 2023. 10. 24.
한쪽눈의 시력이 갑자기 떨어질땐, 의심하라 CRAO! 최근 응급실 근무를 하면서 CRAO 환자를 오랜만에 접할 기회가 있었다. 오랜만에 만난 환자였고, 신경과와 안과 선생님들도 자주 보기 힘든 환자라.. 치료에 관하여 다소 의견이 불일치되는 측면이 있었다.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CRAO, central rentinal artery occlusion에 대해 공부해보려고 한다. 오늘은 AHA의 Stroke journal에서 2021년 3월 게재된 'Management of Central Retinal Artery Occlusion: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을 리뷰했다. #. definition(정의) - CRAO : central retinal artery의 혈류가 throm.. 2023. 4. 25.
척수 손상이 의심될 땐? - dermatome과 myotome을 이용하자 척추손상이 의심되는 외상환자, 척수를 침범하는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가 내원한다면, 어느 정도 레벨의 척추와 척수신경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을 하고, 검사의 범위를 결정해야 한다. 이번 포스팅은 이러한 환자들에게 신경학적 검진으로 이용하는 dermatome, myotom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뇌신경의 구조는 위 그림에서 보는 것과 처럼 피부 및 말단 장기에서 받은 감각 신호를 배측신경절(dorsal root ganglion)을 거쳐 척수(spinal cord)로 들어가서 각각 비슷한 영역의 신경들끼리 다발을 이뤄 뇌까지 이어지게 된다. 주로 감각 신경의 경로는 척수 신경의 뒤쪽(posterior) 배 측(dorsal)에 위치하게 되고, 운동 신경의 경로는 척수 신경의 앞쪽(anterior) 복측(v.. 2023. 4. 12.
ICH management 최신지견 ICH management의 최신지견을 정리해 보기 위해 2020년도 발표된 Management of Intracerebral Hemorrhage를 review 하였다. #. 기본적인 치료/처치 과정 1. 기본 활력징후를 안정화시킨다. 의식상태 평가하고 기도 확보, 활력징후 상 불안정한 부분이 있다면 가장 먼저 안정화에 힘쓴다. 2. stroke alert: NIHSS, GCS, baseline mRS를 평가. initial CT를 시행 3. acute hemorrhage stabilization 시행 - Alertness : 의식이 떨어져 있다면 mass effect에 의한 것인지 평가를 하고, mass effect에 의한 의식저하로 판단되면 hyperosmolar agent를 사용한다. CT에서 hy.. 2023. 3. 20.
뇌출혈 환자의 약물로 인한 응고병증(coagulopathy)의 교정 요즘은 부정맥이나 심근경색, 협심증, 뇌경색 등으로 항혈소판제는 물론 항응고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들이 많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약물은 혈액 응고를 저해하여 몸 안에 혈전이 생겨 혈관이 막히는 것을 예방하는 목적이다. 하지만 반대뇌출혈이 생겼을 경우엔 정상적으로 응고되어야 할 피가 굳지 못해 뇌출혈이 더욱 악화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응급실에서 진단된 뇌출혈 환자의 약물력을 확인하고 약물로 인한 응고병증을 예상하고 확인하고 교정하는 것은 응급실 단계에서부터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JACC(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에서 2020년도에 발간된 ICH환자 치료에 대한 치료편에 담긴 coagulopathy의 치료, 교정.. 2023. 3.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