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공부방/심장

고혈압 약은 언제 먹는 게 좋을까? (아침?, 저녁?)

by 응닥하라 2025. 6. 30.
반응형

통념적으로 고혈압약은 아침에 먹어 온다고 생각했었다.

아침에 생리적으로 혈압이 높기도 하거니와 아침에 약을 챙겨 먹으면서 하루를 시작하는 것이 뭔가 좀 더 심리적으로 안정감 있다고 생각해 왔던 것 같다.

 

그러던 중 JAMA network에 혈압약 복용 시기와 관련한 논문 하나가 올라와 확인해보게 되었다.

 

#. 고혈압약의 복용 시기와 심혈관 질환 및 사망의 상관관계

 

 

1. 중요성

- 혈압 강하제를 아침 대신 취심 전에 복용하는 것이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 취심 시 혈압강하제를 복용하는 것은 glaucoma 관련 시력상실, 기타 저혈압/허혈성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2. 목적

- 혈압강하제를 취침 시간에 복용하는 것과 아침에 복용하는 것에대하여 주요 심혈관 사건 및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한다.

 

3. 설계

- 다기관, open label, 실제 진료환경 기반의 무작위 임상시험, 결과 평가자는 눈가림 방식

- 캐나다 5개 주의 436명의 1차 진료 의사를 통해 고혈압을 진단받고1일 1회 복용하는 혈압강하제를 최소 1종 이상 복용 중인 성인을 대상으로.

- 참여자들은 1:1 비율로 무작위 배정되어, 모든 1일 1회 복용하는 혈압강하제를 취침 전에 복용하는 군(중재군)에 1677명, 아침에 복용하는 군(대조군) 1680명으로 나뉘었다.

 

4. 주요 결과

4-1. Primary outcome

- time to first occurence of either all-cause death or a hospitalization/emegency department visit (for acute coronary syndrome, stroke, or heart failure); 사망 또는 급성관상동맥질환, 뇌졸중, 심부전 등으로 인해 입원 또는 응급실 방문 등 어떠한 의학적 사건이 발생하기까지 걸린 시간을 주요 결과로 측정하였다.

-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모두 4.6년정도의 median time을 보였고, 두 군의 차이는 통계적 유의 유의성 없었다.

 

4-2. Secondary outcomes

- primary outcome의 각 component 비교
- 기립성 저혈합 관련 질환의 빈도(postural hypotension related diseaes)
- 안과 질환(새로운 녹내장, 시력저하)
- 인지기능 문제(18개월 후 인지기능 저하, 치매, 요양원 입소 등)
    ☞ 실험군(저녁에 약 먹는 그룹)과 대조군(아침에 약 먹는 그룹) 모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음.

 

 

 

#. 결론

- 1차 진료를 받는 성인 고혈압 환자에서 혈압약을 먹는 시점은 임상적으로 크게 중요하지 않다.

- 혈압과 직접 연관된 질환의 발생 정도에서도 큰 차이가 없었고, 발생 가능한 합병증에서도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따라서, 혈압강하제(혈압약)의 복용 시간은 약물의 이득이나 위험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환자의 선호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