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공부방/신경

뇌출혈(1) - 지주막하출혈 (SAH, subarachnoid hemorrahge)

by 응닥하라 2023. 3. 4.
반응형

흔히 뇌졸중이라고 하면 혈관이 막혀서 생기는 허혈성 뇌졸중만을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뇌혈관이 터져서 발생하는 뇌출혈도 뇌졸중에 해당하고 전체 뇌졸중 환자의 15% 정도를 차지한다. 

 

뇌출혈은 출혈이 어느 공간에 발생했는지에 따라

subarachnoid hemorrhage (SAH, 지주막하출혈)

intracerebral hemorrahge (ICH, 뇌내출혈)

subdural hemorrhage (SDH, 경막하출혈)

epidural hemorrhage (EDH, 경막외출혈)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뇌실내출혈)

로 구분할 수 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지주막 아래에 생기는 출혈인 SAH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1. 병태생리

- 일부 환자는 외상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다.

- 외상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SAH의 75% 정도는 뇌동맥류와 관련 있으며 나머지 중 일부는 동정맥기형(AVM, ateriovenous malformation)이나 교감신경 흥분제 사용과 관련되어 생기기도 한다. 

- 위험인자 : 가족력이 있는 경우, 흡연, 고혈압이 있는 경우

- 가장 흔한 원인이 뇌동맥류의 파열이고, 뇌동맥류는 대부분 뇌혈관이 분지 되는 부분에 생긴다. 많은 경우 circle of Willis라고 부르는 뇌동맥의 기저 부분에서 만나고 분지되는 부분에서 많이 생긴다.

(circle of Willis, 출처 : medlineplus 이미지)

 - 유전적 요인과 관련 있는 것으로 되어 있고, 5~10mm 이상되는 크기일 경우 파열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2. 임상적 특징

 - 응급실로 내원하는 SAH 환자들은 주로 갑자기 유발된 극심한 두통('thunderclap headache')을 호소한다.

 - 살면서 겪은 두통 중 가장 심한 정도는 아니더라도 평소보다 심하고 다른 양상의 두통이 발생할 경우엔 뇌출혈을 의심해봐야 한다.

 - 의식의 저하 또는 소실, 경련, 오심, 구토, 복시, 다른 신경학적 이상소견을 동반하며, 목덜미 경직(nuchal rigidity)이 보이기도 한다.

 - 20% 정도의 환자는 혈압이 상승할 수 있는 활동(예를 들어, 운동, 배변, 성관계 등)을 하다가 증상을 겪게 된다.

 

3. 진단

3-1. Ottawa SAH Rule : 100% 민감도를 가지고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엔 SAH를 배제할 수 있다. 

 - 40세 미만의 나이

 - 목 통증이 없고 검진상 목의 강직이 없는 경우

 - 의식저하가 없는 경우

 - thunderclap HA이 아닌 경우 

 - 활동 시 발생한 두통이 아닌 경우

 - 목 굽힘에 제한이 없는 경우

 

3-2. noncontrast brain CT : SAH가 의심되는 환자에서 가장 먼저 시행해야 할 검사이다.

(brain CT에서 확인되는 SAH 소견, 화살표 끝부분)

 - 증상 발생으로 부터 6~12시간 이내 촬영한 경우 민감도가 98%에 이른다.

 - thunderclap HA 발생한 지 6시간 이내 환자에서 정상 brain CT 소견과 함께 정상 신경학적 검진소견은 SAH를 배제하는데 굉장히 민감하다. (SAH가 아니라 생각해도 무방!)

 - 두통 발생 24시간 경과된 시점부터는 brain CT의 민감도가 떨어진다. 24시간에 91~93% 민감도, 1주 정도 지난 경우 50% 정도의 민감도를 갖는다.

 - CT angiography나 brain MRI를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3-3. Lumbar pucture (요추천자)

 - SAH가 의심되는데 brain CT가 음성이라면 요추천자를 시행해 볼 필요가 있다.

 - idiopathic intracranial hypertension이나 meningitis와 같은 다른 가능성도 평가할 수 있다.

 - contraindiciation : coagulopathy, thrombocytopenia, brain herniation이 의심되는 경우

 - CSF(뇌척수액)을 원심분리 시켰을 때 상청액에서 xanthocromia(황색색소증)을 띠는 경우에 SAH를 의심해야 한다. 다만, 검사 결과까지 12시간 정도가 소요되고, 다양한 변수로 검사 결과에 오류가 있을 수 있어 응급실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음.

 - CSF의 RBC count(적혈구 숫자)를 측정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보통 요추천자 후 3-4번째 튜브에 받은 CSF를 가지고 검사를 하게 되며, 여기서 RBC가 상당수 검출된다면 SAH를 의미한다. 

- SAH를 진단에 필요한 RBC count의 cutoff value는 따로 제시되어 있지 않다. 다만 요추천자 과정 중에도 출혈이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해 RBC가 검출되는 것을 traumatic tapping이라고 한다. (보통 LP를 하면 10~15% 정도는 traumatic tapping 결과가 나옴) 이 두 가지 경우를 감별하기 위해 serial tube test로 보통 3~4개의 연속채취한 CSF tube를 함께 접수하여 RBC count를 비교해 보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xanthochromia 반응이 없고  RBC count가 <5 × 10^6 RBCs/L 미만으로 검출되는 경우엔 SAH를 배제할 수 있다.

 

4. SAH의 분류, Grading scale 

Grade Hunt and Hess scale World Federation of Neurological Societies scale
1 mild HA, normal mental status,
no cranial nerve or motor findings
GCS of 15, no motor defecits
2 severe HA, normal mental status,
may have cranial nerve defecit
GCS of 13~14, no motor defecits
3 somnolent, confused,
may have cranial nerve or mild motor defecit
GCS of 13~14, with motor defecits
4 stupor, moderate to severe motor defecit,
may have intermittent reflex posturing
GCS of 7~12, with or without motor defecit
5 coma, reflex posturing or flaccid GCS of 3-6, with or without motor defecits

 - 다양한 tool 이 있으나 Hunt and Hess sacle을 많이 사용한다.

 - 점수가 높을수록 예후가 좋지 않음.

 

5. 치료

 - SAH의 합병증으로 재출혈, 혈관연축, 뇌경색, 뇌부종, 수두증, 두개내 고혈압, 호흡부전, 심기능 이상, 패혈증 등 다양한 문제가 유발될 수 있다. 

 - 재출혈의 위험성을 낮추고, 뇌부종 미 두개내 고혈압 상황에서도 적절한 뇌혈류를 유지하기 위해 적정 혈압을 유지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 수축기혈압(SBP, systolic blood pressure)을 기준으로 120~160 mmHg 정도 유지하는 것이 합리적.

 - 혈압이 매우 들쭉날쭉하게 되므로, titration 할 수 있는 정맥주사 약물을 선호, 주로는 labetalol이나 nicardipine을 사용.

 - nitroglycerin이나 nitroprusside는 두개내 혈압을 올리고, 뇌부종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피해야 한다.

 - 재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antifibrinolytics을 사용해 볼 수 있다. 다만, 약물 사용으로 ischemia가 생길 수도 있어 반드시 risk benefit을 따져 사용해야 한다.

 - 혈관연축은 SAH 발생 2-3일 뒤에 주로 발생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nimodipine, 60mg po every 4 hours 용법을 추천한다.

 - 호흡 보조 및 ICU care를 한다.

 

 

* 경험적으로는 SAH가 뇌출혈 중에서 가장 안좋은 예후를 보이는 것 같다. 의식 저하가 동반된 경우엔 적절한 치료 끝에도 사망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갑자기 극심한 두통을 경험하게 된다면 반드시 응급실로 내원하여 brain CT를 받아보시길 권유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