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 Winter 심전도는 급성 심근경색(AMI), 특히 "전방하행지(LAD,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의 급성 폐쇄와 관련된 특이한 심전도 소견으로, 전형적인 ST분절 상승 심근경색(STEMI)과는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2008년 De Winter 등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으며, STEMI의 "등가물(equivalent)"로 간주되어 즉각적인 재관류 치료가 필요한 긴급 상황을 나타냅니다.
De Winter 심전도의 특징

- ST분절 하강
- 전흉부 유도(V1-V4 또는 V1-V6)에서 ST분절이 1-3mm 하강하며, 하강 형태는 "상향 경사(upsloping)"로 나타납니다. 이는 전형적인 STEMI의 ST상승과 구별됩니다.
- 높은 T파 (Hyperacute T wave)
- ST분절 하강 직후에 높고 대칭적인 T파가 관찰됩니다. 이는 심근 허혈의 급성기를 시사합니다.
- 기타 소견
- Q파는 초기에는 드물지만, 경색이 진행되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aVR 유도에서 경미한 ST상승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심전도 소견은 LAD 폐쇄에 의해 좌심실 전벽의 광범위한 허혈을 반영합니다.
임상적 의의
- 발생 빈도: De Winter 소견은 AMI 환자의 약 2%에서 나타나며, 주로 젊은 남성에서 관찰됩니다.
- 위험성: 전형적인 STEMI와 마찬가지로 LAD의 급성 폐쇄를 나타내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지연 시 광범위한 심근 괴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진단 주의점: De Winter 패턴은 일시적일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 전형적인 ST상승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 심전도에서 이 소견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 최근 응급실에서 본 De winter pattern에서 STEMI로 변해가는 AMI case
2025.04.25 - [공부방/심장] - 급성 심근경색 케이스 (AMI case)
급성 심근경색 케이스 (AMI case)
40대 후반의 남성새벽부터 좌측 가슴이 조여 오고, 점점 심해지다가 좌측 팔로 방사되는 통증까지 발생.통증 발생한 지 5시간여 지나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환자는 10여년전 고혈압이 있었으나,
emdoc1988.tistory.com
감별 진단
De Winter 심전도는 다음과 같은 다른 상태와 구별해야 합니다:
- 급성 심낭염: ST상승이 더 광범위하고, T파 역전이 두드러짐.
- 전해질 이상(고칼륨혈증): T파가 높지만, QRS 파형 변화나 기타 전해질 이상 소견이 동반됨.
- 비ST상승 심근경색(NSTEMI): ST하강이 있지만, 상향 경사나 높은 T파가 덜 두드러짐.
치료
- De Winter 심전도는 STEMI와 동일한 긴급성을 가지므로, 즉각적인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 또는 혈전용해 요법이 필요합니다.
- 심전도 소견을 바탕으로 즉시 심혈관 전문의와 상의하여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요약
De Winter 심전도는 LAD 급성 폐쇄에서 나타나는 비전형적인 심전도 패턴으로, 상향 경사 ST분절 하강과 높은 T파가 특징입니다. 이는 STEMI 등가물로, 신속한 진단과 재관류 치료가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심전도 판독 시 이 패턴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젊은 환자에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참고 : De Winter T Wave • LITFL • ECG Library Diagnosis
De Winter T Wave
Reported by de Winter (2008), the de Winter ECG pattern is an anterior STEMI equivalent that presents without obvious ST segment elevation
litfl.com
2023.12.12 - [공부방/심장] - 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1. 정의 - 관상동맥 혈류량의 부족으로 갑작스러운 심근조직의 괴사가 일어나는 것. 2. 진단 - 심근 트로포닌(cardiac troponin)의 상승이 있으면서 아래 중 하나 이상 나타날 경우 1) 심근허혈에 의한
emdoc1988.tistory.com
'공부방 > 심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 심근경색 케이스 (AMI case) (0) | 2025.04.25 |
---|---|
심방세동( Afib, AF; Atrial Fibrillation)의 REVIEW ARTICLE (feat. JAMA) (0) | 2025.04.19 |
응급실에서 보는 고혈압 - Hypertensive crisis(고혈압 위기) (1) | 2024.11.20 |
혈압이 높다면 응급실에 가야하나요? (4) | 2024.11.16 |
관상동맥 혈관조영술(CAG, Coronary angiography) 영상의 해석 (1) | 202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