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EJM AI에 2025년 3월 27일에 "Randomized Trial of a Generative AI Chatbot for Mental Health Treatment"이라는 제목의 논문이 하나 올라왔다.
이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Gen-AI) 챗봇인 "Therabot"을 활용해 정신 건강 치료의 효과를 검증한 최초의 무작위 대조 연구(RCT)이다.
사람의 마음을 치료하는데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하고 그 효과를 보는 연구인 것이다.
#. 연구 목적
- 생성형 AI 챗봇(Therabot)이 우울증(MDD), 불안장애(GAD), 섭식장애 고위험군(CHR-FED)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지 확인.
- 개인 맞춤형 치료와 사용자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디지털 치료법의 가능성을 탐구.
#. 연구 방법
- 참가자: 미국 전역에서 모집한 성인 210명.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MDD, GAD, 또는 CHR-FED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
- 설계: 4주간의 무작위 대조 연구.
- 실험군(106명): Therabot 사용.
- 대조군(104명): 대기 목록(WLC, 앱 접근 없음, 연구 종료 후 8주 시점에 접근 허용).
- 측정 시점: 기준점(baseline), 중재 후(4주), 추적 관찰(8주).
- 주요 결과: MDD, GAD, CHR-FED 증상의 변화.
- 부차적 결과: 사용자 참여도, 수용성, 치료적 동맹(환자와 치료자 간 협력 관계).
- 분석: Cumulative-link mixed 모델로 그룹 간 차이를 분석하고, Cohen’s d로 효과 크기를 계산.
#. 주요 결과
- 증상 감소:
- MDD: Therabot 사용자는 대조군보다 증상이 더 많이 감소(4주: -6.13 vs -2.63, 8주: -7.93 vs -4.22, 효과 크기 d=0.845–0.903).
- GAD: Therabot 사용자가 더 큰 개선(4주: -2.32 vs -0.13, 8주: -3.18 vs -1.11, d=0.794–0.840).
- CHR-FED: Therabot 사용자가 더 나은 결과(4주: -9.83 vs -1.66, 8주: -10.23 vs -3.70, d=0.627–0.819).
- 모든 결과는 4주와 8주 시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함.
- 사용자 경험:
- 평균 사용 시간: 6시간 이상(높은 참여도).
- 치료적 동맹: 인간 치료자와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됨.
- 사용자 만족도: 높게 평가됨.
#. 결론 및 의의
- Therabot은 MDD, GAD, CHR-FED 증상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며, 이는 생성형 AI 챗봇이 정신 건강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줌.
- 개인화된 치료를 대규모로 제공할 가능성을 제시하며, 사용자 참여도와 수용성 면에서 긍정적.
- 다만, 더 큰 임상 표본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해야 함.
사람의 마음을 어루만져주는 인공지능..
영화 “Her”처럼 인공지능과 사랑에 빠지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 아닐지도 모르겠다.
반응형
'공부방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붉고 아픈 눈" 이야기: 눈이 빨갛고 아파요! (0) | 2025.04.14 |
---|---|
"복시(Diplopia)" 이야기: 물건이 두 개로 보여요! (0) | 2025.04.12 |
급성 장동맥 질환 증례 - SMA embolism, 진단을 위한 긴 여정 (2) | 2025.02.06 |
말초혈관질환(2) - 급성 장동맥 질환 (0) | 2025.01.21 |
말초혈관질환(1) - 폐쇄동맥경화증(ASO) (0) | 2024.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