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공부방/로젠's 응급의학 - 환자 입장에서 이해하기

어지럼증과 현기증(Dizziness and vertigo): 빙글빙글 돌면 어쩌지?

by 응닥하라 2025. 3. 20.
반응형

#. "어지럼증과 현기증" 이야기: 빙글빙글 돌면 어쩌지?

- 응급의학 교과서 중 하나인 Rosens emergency medicine을 X의 AI 모델인 Grok을 이용하여 요약한 내용이다.

 

1. 어지럼증과 현기증이 뭐예요?

  • 어지럼증(Dizziness): "어질어질하다"는 느낌이에요. 빙빙 도는 느낌(현기증), 기절할 것 같음, 불안정함, 막연한 불안 등 다양해요.
  • 현기증(Vertigo): 주변이나 내가 "빙빙 돈다"고 느껴지는 거예요. 주로 귓속 문제나 뇌 신호 혼선 때문이에요.
  • 얼마나 흔해요?: 응급실 방문의 4%가 어지럼증이고, 그중 5%는 뇌졸중이에요.

쉽게 비유하자면: 어지럼증은 "뇌가 방향 감각을 잃은" 상태예요. 현기증은 "놀이기구 탄 듯한" 느낌이죠.


2. 왜 생길까? 원인은?

  • 주변부(귀 문제):
    • BPPV(양성 발작성 체위 현기증): 고개 움직일 때 돌고, 짧게(30초 이내) 끝나요.
    • 전정 신경염: 갑자기 심하게 돌고 며칠 간 지속.
    • 메니에르병: 귀 울림, 청력 저하와 함께 반복.
  • 중앙부(뇌 문제):
    • 뇌졸중/TIA: 갑작스럽고 신경 증상(말 어눌함, 저림) 동반.
    • 소뇌 출혈: 심한 어지럼증, 걷기 힘듦.
  • 기타: 저혈당, 탈수, 약물 부작용.

예시: 고개 돌리다 어지럽다면 BPPV, 갑자기 심하고 계속되면 전정 신경염이나 뇌 문제일 수 있어요.


3. 병원에서는 어떻게 알아낼까?

  • 이야기 듣기:
    • 언제, 얼마나 오래? 고개 움직일 때? 귀 울림, 청력 변화 있나?
    • 갑작스럽거나 신경 증상 동반 시 뇌 문제 의심.
  • 검사:
    • 눈 움직임(안진): 흔들림 패턴으로 귀/뇌 문제 구분.
    • 홀파이크 테스트: 고개 돌려 눕히며 BPPV 확인(5-30초 안진+어지럼증).
    • 헤드 임펄스 테스트: 전정 신경염 체크(눈이 따라 안 가면 양성).
    • CT/MRI: 뇌졸중, 출혈 의심 시.
  • 신체 신호: 걷기 힘듦(운동실조), 눈동자 이상, 귀 소리.

비유: 의사는 "뇌 나침반" 점검하듯 증상과 테스트로 원인을 찾아요.


4. 위험 신호는 뭐예요?

  • 갑작스러운 심한 어지럼증+말 어눌함/저림 → 뇌졸중.
  • 고개 움직임 없이 계속됨 → 전정 신경염 or 뇌 문제.
  • 청력 저하 없이 신경 증상 → 중앙부 의심.
  • 1일 이상 지속(급성 전정 증후군) → 뇌졸중 가능성 체크.

쉽게 말하면: "조금 어지러운" 정도가 아니라 "움직일 수 없다"면 빨리 병원으로!


5. 치료는 어떻게?

  • BPPV:
    • 에플리 기법: 고개 돌리는 4-5단계 동작(각 30초)으로 귀 안 돌을 제자리로.
  • 전정 신경염:
    • 약물: 메클리진(12.5-50mg, 1시간 후 효과), 온단세트론(4mg IV)으로 어지럼증/구토 줄임.
    • 스테로이드: 논란 있지만 초기 60mg부터 줄이며 처방 가능.
  • 뇌 문제:
    • 뇌졸중/TIA: 신경과 상담, MRI, 혈전 치료.
  • 일반 관리: 탈수 시 수액, 약 부작용 확인.

비유: 어지럼증은 "뇌 나침반 재조정"이에요. 기법이나 약으로 바로잡아요.


6. 알아두면 좋아요

  • 고개 움직임 유발: BPPV일 가능성 높아요.
  • 귀 울림/청력 저하: 주변부 문제 신호.
  • 벤조디아제핀 피하기: 집에서 먹으면 회복 늦어질 수 있어요.
  • 재검 필요: 72시간 내 안 나아지면 병원 다시!

마무리

어지럼증과 현기증은 "뇌가 길을 잃은" 신호예요. 고개 돌릴 때 짧게 돌면 BPPV, 계속되면 전정 신경염이나 뇌 문제를 의심해야 해요. 병원에서 이야기와 간단한 테스트로 원인을 찾아 치료하면 대부분 괜찮아져요. "심하다"거나 "평소와 다르다" 싶으면 바로 응급실로! 몸 신호를 잘 들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