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일반인을 위한 "발작(Seizure)" 이야기: 갑자기 떨리면 어쩌지?
- 로젠 응급의학(Rosens emergency medicine)을 그록(Grok)을 이용하여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요약한 내용이다.
1. 발작이 뭐예요?
- 정의: 발작은 뇌 신경이 갑자기 과하게 반응해서 몸이 떨리거나 정신을 잃는 거예요. "간질(Epilepsy)"은 반복되는 발작을 말해요.
- 얼마나 흔해요?: 평생 8-10%가 한 번쯤 겪고, 3%는 간질 진단을 받아요. 응급실에서는 4명 중 1명이 처음 발작으로 와요.
쉽게 비유하자면: 발작은 뇌가 "갑자기 전기 쇼크"를 맞은 것 같아요. 정상으로 돌아오기도 하지만, 반복되면 주의가 필요해요.
2. 누가 잘 걸리고, 왜 생길까?
- 나이: 영아(열성 발작)와 75세 이상(뇌 손상)이 많아요.
- 원인:
- 급성: 저혈당, 감염, 뇌졸중, 약물/술, 독소.
- 만성: 간질, 뇌 손상, 신장/간 질환.
- 촉발 요인: 잠 부족, 약 안 먹음, 스트레스.
- 위험: 처음 발작 후 2년 내 45%가 재발해요. 뇌 이상 있으면 더 높아요.
예시: 아기가 열 나서 떨거나, 술 끊고 발작이 올 수 있어요.
3. 발작의 종류와 특징
- 종류:
- 부분 발작: 한쪽 팔 떨림, 이상 감각(냄새, 두려움).
- 전신 발작: 온몸 떨림, 의식 잃음.
- 상태 발작: 5분 이상 멈추지 않음.
- 특징: 갑작스럽고, 1-2분 내 끝나고, 억제 안 되고, 발작 후 멍함(후기 상태)이 있어요.
쉽게 생각하면: 뇌가 "부분 오류"냐 "전체 재부팅"이냐에 따라 다르게 보여요.
4. 병원에서는 어떻게 알아낼까?
- 이야기 듣기:
- 언제, 어떻게 시작? 기절 전 느낌(오라)? 얼마나 갔나?
- 약, 술, 잠 부족, 감염 등 촉발 요인 체크.
- 검사:
- 혈당: 낮으면 바로 포도당 주사.
- 혈액검사: 나트륨, 간/신장 기능, 약물 농도.
- CT/MRI: 뇌출혈, 종양 찾기(처음 발작 시 추천).
- 뇌파(EEG): 비경련 발작 확인.
- 신체 신호: 혀 깨물림, 멍, 뻣뻣함은 발작 힌트.
비유: 의사는 "발작 탐정"이에요. 증상과 검사로 뇌 신호를 추적해요.
5. 위험 신호는 뭐예요?
- 5분 이상 멈추지 않음 → 상태 발작.
- 의식 안 돌아옴 → 비경련 발작 의심.
- 임신 중 발작 → 자간증 가능성.
- 갑작스러운 변화 → 뇌 손상, 독소.
쉽게 말하면: "조금 떤" 수준이 아니라 "계속되거나 이상하다"면 빨리 병원으로!
6. 치료는 어떻게?
- 즉시 대응:
- 안전: 옆으로 눕히고, 다치지 않게.
- 산소: 숨 잘 쉬게 도움.
- 혈당 낮음: 포도당 주사.
- 약물:
- 1차: 벤조디아제핀(미다졸람 5-10mg IM, 로라제팜 0.1mg/kg IV)으로 5분 이상 시 멈추게.
- 2차: 발프로산, 페니토인, 레베티라세탐(20-60mg/kg IV).
- 3차: 계속되면 기도 삽관+프로포폴 등.
- 특별 상황:
- 자간증 → 마그네슘 IV.
- 약물 독성 → 해독제(예: 이소니아지드-피리독신).
- 퇴원 여부: 처음이고 정상 돌아오면 집 가능, 반복/이상이면 입원.
비유: 발작은 "뇌 과열"이에요. 약으로 식히고, 원인 고쳐요.
7. 알아두면 좋아요
- 안전 팁: 발작 중 입에 물건 넣지 마세요(혀 깨물려요).
- 운전 금지: 발작 후 일정 기간 운전 못 해요(지역 규정 확인).
- 추적: 처음이면 신경과 의사 만나세요.
마무리
발작은 뇌가 "갑작스런 SOS"를 보내는 거예요. 대부분 멈추지만, 길어지거나 반복되면 위험해요. 병원에서 원인을 찾아 약으로 멈추고, 재발 막는 게 중요해요. "평소와 다르다" 싶으면 바로 응급실로! 뇌가 보내는 신호를 잘 들어보세요.
반응형
'공부방 > 로젠's 응급의학 - 환자 입장에서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통(Headache)" 이야기: 머리가 아프면? (0) | 2025.03.27 |
---|---|
어지럼증과 현기증(Dizziness and vertigo): 빙글빙글 돌면 어쩌지? (0) | 2025.03.20 |
의식 저하와 혼수: 갑자기 정신을 잃었다면? (2) | 2025.03.12 |
실신(Syncope) (0) | 2025.03.03 |
청색증(Cyanosis) (0)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