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전체 글284

상부 위장관 출혈(Upper GI bleeding); 토혈, 흑색변 관상동맥질환(협심증, 심근경색), 부정맥(심방세동, 심방조동),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 심장판막 수술 등 다양한 이유로 항혈소판제, 항응고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들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응급실에 근무하면서도 내원하는 중년 이상의 환자분들을 보면 아스피린이나 clopidogrel 과 같은 항혈소판제를 대부분 복용하고 있다. 이런 약물들은 혈액응고를 방해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출혈 위험성이 있다. 그 중 가장 빈번히 생길 수 있는 증상이 위장출혈이 아닌가 싶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상부위장관 출혈(위/십이지장 출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원인 - peptic ulcer disease (소화성 궤양) 가장 흔한 상부위장관 출혈의 원인이 아닐까 싶다. 궤양이 심해지면서 장.. 2023. 2. 15.
Hypovolemic shock classification (출혈량에 따른 생체변화) 이번 포스팅에서는 출혈량에 따른 활력징후, 의식 변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ATLS(Adavanced Trauma Life Support)라는 전문외상처치술에서 기술하는 출혈로 인한 hypovolemic shock(저혈량성 쇼크)의 분류에서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class I class II class III class IV Blood loss in % 40 Pulse rate 140 Blood pressure Normal Normal Decreased Greatly decreased Pulse pressure Normal or increased Decreased Decreased Decreased Respiratory rate 14–20 20–30 30–40 >35 Mental statu.. 2023. 2. 13.
고관절 질환을 확인하는 신체 검진 방법 #. 패트릭 검사 (Patrick test) 환자를 눕힌 자세(supine position)에서 한쪽 다리를 구부려 다른 쪽 무릎 위에 놓은 다음, 올려진 다리의 무릎을 하방으로 누른다. 만약 올려진 다리의 고관절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면 해당 고관절에 병변이 있으며, 펴진 다리의 엉덩이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면 천장관절(sacroiliac joint)에 병변이 있음을 시사한다. (출처 : https://orthofixar.com/special-test/patrick-test/) #. 복와위에서 고관절 내회전 (prone hip internal rotation stretch) 엎드린 자세에서 무릎을 구부리고 발뒤꿈치가 천장을 바라본 자세에서, 허벅지를 바닥에 붙인 채 다리와 발을 바깥쪽으로 벌린다. 고관절 .. 2023. 2. 12.
소아의 진정/진통요법, PSA 약물 (2) 지난 포스팅에 이어 이번엔 진정/진통 요법에 사용되는 약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PSA의 목적에 따라 필요한 진정/진통의 정도가 다르고, 때문에 사용하는 약물도 달라지게 된다. 오늘은 응급실에서 마주하게 되는 상황에 따른 약물의 선택, 사용방법을 알아보겠다. 1. 움직임의 제어만 필요한 검사 및 시술 - CT, MRI, 초음파 검사를 위해 필요한 가벼운 정도의 진정으로 연령과 검사 시간에 따라 다른 방법을 선택한다. - 3개월 미만의 신생아 : 비약물적인 방법으로 수유나 과당 복용으로 아이의 관심을 끄는 방법을 먼저 고려한다. - 3개월 이상, 검사 시간 20분 이내 : · 1차 thiopental (PR, 직장으로 투약) · 2차 chloral hydrate(PO), midazolam(IV), pe.. 2023. 2. 9.
소아의 진정/진통요법, PSA 사전 평가 (1) 응급실에서 검사 및 처치를 함에 있어 환자의 협조는 당연히 필요한 부분이다. 하지만 이런 협조를 기대하기 어려운 환자군이 있다. 바로 소아환자이다. 머리를 다쳐 내원한 소아 환자의 brain CT를 촬영할 때 피부가 베어서 봉합이 필요할 때 어린아이의 협조가 담보되지 않은 상황이라면 아이는 아이대로 스트레스를 받고, 검사나 처치는 결국 불가하게 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런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아 환자의 진정, 진통 요법 (PSA, procedural sedation and analgesia)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다. 1. 진정유도 전 환자평가 - 병력청취 : 심장, 폐, 신장, 간질환 등의 병력, 현재 복용 중인 약물, 호흡기 증상 유무, 알레르기 여부, 물이나 음식을 마지막으로 먹은 시간(NP.. 2023. 2. 8.
피부 열상(skin laceration) 봉합이 필요해! 대부분 칼이나 날카로운 물건에 피부를 베었다면 근처 응급실을 찾게 될 것이다. 오늘은 응급실에 피부 열상으로 내원한 환자의 처치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상처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수가 있을 수 있기에 모두 일관된 치료를 적용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본적인 원칙과 흐름을 설명해보고자 한다. 동반된 손상의 정도를 평가하여, 치료의 범위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상처의 감염의 위험을 줄이고,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을 최소화시키며, 미용적으로도 최선의 결과를 얻기 위해 다소 번거로울 수 있는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1. 상처의 평가 및 봉합 준비 1-1. 상처의 평가 - 상처를 눈으로 확인하고 위치와 크기, 모양, 깊이, 오염정도, 출혈 정도를 확인한다. - 겉으로 보기.. 2023. 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