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NIHSS3

초급성 뇌졸중 환자가 응급실에 오면 (Stroke CP에 대하여..) 내가 일하는 응급실에선 초급성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stroke CP (clinical pathway)를 적용하고 있다. CP란 같은 증상 및 진단으로 내원하는 환자를 체계적으로 진료 하기 위해 병원의 여러 파트(진료부, 간호부, 원무, 검사실 등)가 함께 합의하여 만든 진료 프로토콜이다. 뇌졸중 환자가 응급실에 오면 빠르게 활력징후를 측정, 환자 의식 및 신경학적 상태를 평가하게 된다. 뇌졸중이 의심된다면 증상 발생 시간이 중요하다. 증상이 발생한 시간(FAT, first abnormal time)으로부터 6시간 이내 내원하는 경우, NIHSS 4점이상이 되는경우 뇌졸중 CP의 대상이 된다. 간혹 증상 발생시간이 불분명한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엔 마지막으로 정상적이었던 시간(LNT, last nor.. 2022. 12. 20.
NIHS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응급실에서 뇌졸중 환자를 평가할 때 주로 사용하는 뇌졸중 척도로는 NIHSS, national institutes of heatlh stroke scale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NIHSS의 각 항목들과 평가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미국 NIH에서 발표한 stroke scale 이므로, 인터넷에서도 쉽게 접근가능한 자료들이 있다. 각 구성항목을 살펴보면 위와 같다. 의식 관련 3가지 항목, 응시, 시야, 얼굴 운동, 운동기능(팔), 운동기능(다리), 운동실조, 감각, 언어, 발음, 무반응 이렇게 총 13가지 항목들을 평가하고, 각 항목의 점수를 종합하여 stroke의 severity를 판단하게 된다. 이제부터 각각 항목에 대하여 공부해보도록 하겠다. 1a. Level of consciousness (LO.. 2022. 12. 13.
뇌졸중의 증상은? 뇌졸중(Stroke) 은 뇌에 혈류를 공급하는 혈관이 막혀서 생기는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과 그 혈관이 터져서 생기는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으로 나뉜다. 병변이 생긴 위치에 따라 증상이 달라질 수 있으며, 출혈성 뇌졸중의 경우엔 두통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뇌졸중이 의심되면 빠른 검사와 처치를 해야 환자의 신경학적 예후를 최대한 좋게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증상이 생겼을 때 뇌졸중을 의심해야 할 것인가? 응급실에서는 NIHSS(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acle)라는 미국 국립보건원에서 발표한 뇌졸중 척도를 사용하여 환자가 어떤 신경학적 증상이 있는지를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NIHSS는 평가 항목.. 2022. 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