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관지염의 중증도 평가1 소아 하기도 감염(2) - 급성 세기관지염(acute bronchiolitis) #. 급성 세기관지염 (Acute bronchiolitis) 급성 세기관지염은 하부 기도 감염으로 하부 기도에 염증성 폐쇄가 발생하여 나타나는 임상 증후군이며, 2세 미만 영아의 주된 입원 요인중 하나이다.1. 급성 세기관지염의 역학 - 24개월 이하 소아에서 주로 발생하며, 2~6개월 사이에 가장 호발 한다. - 급성 세기관지염으로 입원하는 소아 환자의 50~80%가 RSV로 인한 것이다. - 6-30% 정도의 소아에서는 두 가지 이상의 바이러스가 동시에 검출된다. - 남아에서 흔하며, 주로 늦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 유행적으로 발생한다. 2. 급성 세기관지염의 진단 - 임상 증상과 징후, 신체 진찰의 특성에 근거하여 진단한다. - 24개월 미만의 영유아에서 열(40도의 고열도 가능), 재채기, 콧물 등.. 2024. 9.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