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알코올 중독으로 괴사성 췌장염에 걸린 환자 케이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 알코올 소비에 대한 경각심을 갖자는 취지로 알코올 의존증을 의심할 수 있는 다양한 설문에 대해 알아보자!
#. CAGE
가장 간단하게 알코올 의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가 설문으로 CAGE가 있다.
총 4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아래와 같다.
1. C : Cut down
- 당신은 술을 끊어야 한다고 생각한 적이 있습니까?
2. A : Annoy
- 당신이 술을 마시는 것을 비난하는 사람들 때문에 귀찮을 때가 있습니까?
3. G : Guilty
- 음주 때문에 죄책감(후회나 자책, 미안함)을 느끼거나 기분이 나쁠 때가 있습니까?
4. E : Eye-opener
- 술을 마신 다음날 아침 불쾌감을 없애고 기운을 차리기 위해 해장술을 마실 때가 있습니까?
위 그림처럼 0개가 정상, 1~2개는 의존가능성이 있는 상태, 3개 이상은 음주에 의존성이 있는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설문에서 1개 이상 해당하는 경우보다 자세한 설문검사를 위해 AUDIT-K 시행해야 한다.
#. AUDIT-K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Korea)
알코올 의존도 자가 진단표로 세계 보건기구에서 개발한 10개의 설문을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수정한 설문이다.
술은 얼마나 자주, 어느 정도의 양을 마시는지, 술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행동 문제 등을 묻고 있다.
AUDIT-K의 점수에 따른 알코올 의존증여부는 남녀에 따라 점수기준이 다르게 적용된다.
남성은 20점이상 여성은 10점 이상일 경우 알코올 사용장애로 보며, 전문가의 진료 및 치료가 권장된다.
** AUDIT-K 자가 테스트 해보기(아래 링크 클릭)
https://www.cnmh.go.kr/cnmh/medical/medical_01_01.jsp?menu_cd=M_05_03
국립춘천병원
행복한 삶을 위한 정신건강의 가치실현, 국립춘천병원 (Chuncheon National Hospital.)
www.cnmh.go.kr
이 외에도 알코올 중독 환자의 입원 여부 결정을 위해 사용하는 NAST나, 정신과적 진단을 위한 DSM-IV, ICD-10 등의 기준이 있으나, 이는 일반인의 영역이 아닌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영역에서 필요한 영역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