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diac marker1 심근효소(Cardiac enzyme) 검사의 해석 - Troponin #. 심근효소 발견의 역사 심근 경색 환자에서 손상된 심장근육 세포에서 다양한 효소들이 유출되어 혈액 내 수치가 상승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응급실에서는 흉통환자가 내원했을 때, 혈액검사를 통해 실제 심장근육(심근, myocardium)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심근효소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효소들은 심장근육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닌 일반 근육세포에도 존재하였기에 혈중 수치가 높아진다고 해도 심장의 문제인지 아닌지 알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역사적으로도 심장근육에 보다 특화된 심근효소를 찾기 위한 노력이 있어왔다. 1950년대 AST, ALT가 괴사된 심근세포에서 유출된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1960년대에는 CK(creatine kinase)의 발견이 있었다. 이후 1970년대 C.. 2024. 8.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