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신(Syncope)
##. 실신(Syncope)
1. 실신이 뭐예요?
- 정의: 실신은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가 금방 깨어나는 거예요. 보통 몇 초에서 몇 분 안에 정신이 돌아오고, 깨어난 뒤에도 멍한 상태가 오래가지 않아요.
- 왜 생기냐면: 뇌에 피가 잠깐 부족해져서예요. 심장이 피를 잘 못 보내거나 혈압이 뚝 떨어지면 뇌가 "전원 꺼짐" 상태가 되는 거죠.
쉽게 비유하자면: 실신은 뇌가 "인터넷 끊김"처럼 잠깐 연결이 끊겼다가 다시 붙는 상황이에요.
2. 실신은 얼마나 흔할까?
- 누구나 겪을 수 있어요: 평생 20~40%가 한 번쯤 실신을 경험해요. 여성이 남성보다 조금 더 흔하고, 20대 초반과 60대 이후에 많이 나타나요.
- 응급실에서: "기절했다"고 오는 경우는 많지만, "기절할 뻔했다"(전조증상)는 덜 와요. 그래도 둘 다 30일 내 위험도는 비슷해요.
예시: 친구가 피 보면 까무러치는 걸 본 적 있죠? 그게 흔한 실신 사례예요!
3. 실신의 3가지 큰 원인
실신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 반사성 실신 (가장 흔해요):
- 무서운 걸 보거나, 아파서, 너무 오래 서 있다가 기절해요(바소바갈 실신).
- 배뇨, 배변, 기침처럼 특정 행동 후에 오는 경우도 있어요(상황성 실신).
- 증상: 땀 나고, 어지럽고, 속이 메스껍다가 쓰러져요.
- 기립성 실신 (일어나면 어지러움):
- 앉았다가 일어서면 혈압이 뚝 떨어져요.
- 탈수, 출혈, 약 부작용, 노화로 생길 수 있어요.
- 심장성 실신 (제일 심각해요):
- 심장 박동 이상(너무 느리거나 빠름), 심장 구조 문제(판막, 근육 이상), 폐색전증, 심근경색 등이 원인.
- 증상: 갑자기 아무 전조 없이 쓰러질 수 있어요.
쉽게 생각하면: 반사성은 "놀라서 꺼진 전등", 기립성은 "배터리 부족", 심장성은 "엔진 고장" 같은 느낌이에요.
4. 병원에서는 어떻게 알아낼까?
- 이야기 듣기:
- 언제, 어디서, 어떻게 쓰러졌는지 물어봐요. 예를 들어, 피 보면서? 일어서자마자? 운동 중에?
- 가슴 통증, 숨 가쁨, 두통 같은 다른 증상이 있었는지 체크해요.
- 검사:
- 심전도(ECG): 심장 박동을 확인하는 기본 검사예요. 모든 실신 환자에게 추천하지만, 건강한 젊은이의 단순 바소바갈(vasovagal) 실신이라면 안 해도 돼요.
- 혈액검사/영상: 출혈, 심장 이상, 폐색전증이 의심될 때만 해요. 무조건 다 하는 건 아니에요!
- 신체 검사: 혈압, 심장 소리, 폐 소리를 듣고, 신경 상태를 봐요. 근데 보통은 정상으로 나와서 힌트를 잘 안 줘요.
비유: 의사는 "실신 탐정"이에요. 환자 이야기가 제일 큰 단서고, 검사로 확인하는 거죠.
5. 위험 신호는 뭐예요?
- 갑자기 전조 없이 쓰러짐 → 심장 문제 의심.
- 가슴 아프거나 숨 가쁨 → 심근경색, 폐색전증 가능성.
- 깨어난 뒤 멍함이 오래감 → 실신이 아니라 발작일 수 있어요.
- 운동 중, 나이 많음, 심장병 과거 → 심각한 원인일 확률 UP!
쉽게 말하면: "평소와 다르다"거나 "갑작스럽다"면 빨리 병원에 가세요!
6. 치료와 대처는?
- 원인 따라 달라요:
- 반사성: 놀라서 기절했다면 쉴 곳 주고 다리 올려주면 돼요. 건강하면 집에 가도 OK.
- 기립성: 물 많이 마시고, 약 조정 필요할 수 있어요.
- 심장성: 심장 박동 조절 약, 수술, 입원이 필요할 수도.
- 모를 때는: 위험도를 보고 입원할지, 집에 갈지 결정해요. 나이, 집 환경, 추후 진료 가능 여부도 봐요.
비유: 실신은 "경고등"이에요. 불이 꺼졌다 켜졌으면 원인을 찾아 고쳐야 해요.
7. 알아두면 좋은 팁
- 기절 전조: 땀 나고 어지러우면 바로 앉거나 누워서 피가 뇌로 가게 해요.
- 약 주의: 혈압약, 진정제 먹는 사람은 기립성 실신 조심!
- 가족력: 갑작스러운 심장 문제 가족력이 있다면 의사에게 꼭 말해요.
#. 마무리
실신은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일이지만, 대부분은 놀라거나 피곤해서 생기는 가벼운 경우예요. 하지만 심장이나 출혈 같은 심각한 원인일 수도 있으니, "평소와 다르다" 싶으면 병원에서 확인하는 게 안전해요. 의사가 이야기를 잘 듣고, 필요한 검사로 위험을 가려내줄 거예요. 몸이 보내는 신호를 잘 알아채세요!
#. 과거 포스팅 했던 실신과 관련된 내용들
2025.02.10 - [공부방/신경] - 실신과 발작을 구분하기 - Syncope과 seizure
실신과 발작을 구분하기 - Syncope과 seizure
일시적인 의식 소실이 있어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들이 있다. 비교적 짧은 수초~수분이내의 의식 소실 이후 별다른 후유증을 남기지 않고 회복을 한 경우엔 실신(syncope)으로 진단하게 되며, 의
emdoc1988.tistory.com
2024.02.08 - [공부방/신경] - 의식 소실 후 완전한 회복 - 실신(Syncope)
의식 소실 후 완전한 회복 - 실신(Syncope)
#. 실신이란? Syncope 또는 fainting은 짧은 의식의 소실 이후 별도의 의학적 처치 없이 자발적으로 회복되어 평소의 의식 및 신체 기능상태를 회복하는 경우를 뜻한다. 실제 의식을 잃지는 않았으나,
emdoc1988.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