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응급실 의사의 이야기

crrt3

3/11일 중환자실 나이트 근무일지 1. F/52 variant angina 병력 있는 환자로 흉통으로 응급실 방문하던 중 심정지 발생. 응급실에서 확인해보니 Vfib arrest로 확인되어 ACLS 7분정도 시행후 소생. coronary angiography에서 vasospasm 확인되고 variant에 의한 MI, Vfib으로 PCAS manage위해 중환자실에서 치료중. extubation하였고, 낮시간 병동으로 전과전동 가능한 상태로 보임. 2. F/68 3VD로 CABG, HF, Afib, DM, HTN, CKD, stroke 병력 있는 분으로, 의식저하 및 혼탁으로 내원하여 신경과 입원하였으나 AKI on CKD, pneumonia로 소변이 배출되지 않던 중 혈압 떨어져 ICU로 전과되었고 현재 CRRT 유지중. ICU 전과시 .. 2024. 3. 12.
3/9일 중환자실 데이 근무일지 1. 68/F, 3VD로 CABG, HF, Afib, DM, HTN, CKD, stroke 병력 있는 분으로, 의식저하 및 혼탁으로 내원하여 신경과 입원하였으나 AKI on CKD, pneumonia로 소변이 배출되지 않던 중 혈압 떨어져 ICU로 전과. hydration 하면서 albumin, lasix 사용에도 소변량 늘지 않아 perm catheter insertion 이후 CRRT 시작함. 2. F/83 NSTEMI로 PCI, HTN, DM, DL, parkinsonism, CKD 있는 분으로 pneumonia septic shock으로 AKI 생겨 CRRT 시작하며 ICU 입실한 지 3일째 소변량 조금씩 늘고, 혈압 안정화 되어 금일은 intermittent HD를 성공적으로 시행함. 주말 지나.. 2024. 3. 9.
신대체요법 (RRT, renal replacement therapy) 응급실에서는 혈액검사를 흔히 시행하게 된다. 모든 혈액검사 결과들이 중요한 의미를 갖겠지만, 이환자가 중환자인지 아닌지를 가늠할수 있는 가장 중요한 혈액검사 결과는 신장과 관련 된 수치일 것이다. 흔히 혈액검사로는 BUN, Cr을 통해 신장기능을 평가하게 되고, 신장기능에 문제가 생겼을 때에는 혈액내 전해질 수치의 이상 (주로는 고칼륨 혈증) 흔히 동반되게 된다. 일단, 환자의 Cr 수치가 높으면, 실제 소변보는 양이 얼마나 되는지를 평가해야 하고, 소변이 잘 만들어지지 않는 상황이라면 중환이라 할만하다. 급성기 문제로 소변이 잘 만들어지지 않는 환자를 급성신부전 환자라고 한다. 응급실/중환자실에서 근무를 하다보면 이런 급성 신부전 환자를 자주 접하게 되고, 소변이 하나도 안나온다면 환자 체내에 쌓이는 .. 2022. 1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