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방/심장
Cardiac inotropics(수축촉진제)에 대해서
응닥하라
2024. 5. 6. 09:11
반응형

심장에 작용하는 약물은 크게 두가지 효과를 갖게 된다.
심장의 수축력을 상승시키는 Inotropic effect와 심박수를 조절하는 Chronotropic effect가 있다.
응급실/중환자실에서 심장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inotropics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
1. Inotropics의 작용 수용체와 각 수용체의 작용 부위 및 효과
Receptor | Location | Effect |
β1 | Myocadium SA node AV node |
심근에 작용하여 심방과 심실의 수축력을 향상 심박수를 빠르게 한다. AV 사이 전도를 빠르게 한다. |
β2 | Arterioles Lungs |
vasodilation; 혈관확장 bronchodilation : 기관지확장 |
α | Arterioles | vasoconstriction; 혈관수축 |
2. Inotropics의 종류와 작용
α(pph. vasoconstriction) | β1(cardiac contractility) | β2(pph. vasodilation) | Chronotropic effect | |
Norepinephrine | ++++ | +++ | 0 | + |
Epinephrine | +++ | ++++ | + | ++ |
Dopamine | ++ | +++ | + | + |
Dobutamine | 0 | +++ | ++ | + |
Isoproterenol | 0 | ++++ | +++ | ++++ |
Phenylephrine | ++++ | 0 | 0 | 0 |
3. Inotropics의 용량 (ESC guideline)
Bolus | Infusion rate | |
Dobutamine | No | 2-20 ㎍/kg/min |
Dopamine | No | < 3 ㎍/kg/min : renal effect 3~5 ㎍/kg/min : inotropic effect > 5 ㎍/kg/min : vasopressor |
Milrinone | 20~75 ㎍/kg over 10~20 min | 0.375~0.75 ㎍/kg/min |
enoximone | 0.5~1.0 mg/kg over 5~10 min | 5~20 ㎍/kg/min |
levosimedana | 12 ㎍/kg over 10min | 0.1 ㎍/kg/min으로 시작하여 0.05~0.2 ㎍/kg/min사이로 조절 |
norepinephrine | No | 0.2~1.0 ㎍/kg/min |
epinephrine | bolus : 소생술 상황에서 매 3~5분마다 1mg씩 사용 | 0.05~0.5 ㎍/kg/min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