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방/소아

컹컹컹 기침을 한다면? 크룹, 크루프, croup!

응닥하라 2023. 5. 13. 07:31
반응형

 새벽녁 응급실을 찾는 소아환자중 특징적인 기침 소리를 가지고 내원하는 환자들이 있다.

 

 '컹컹'

 바로 개가 짖는듯한 기침 소리라는 뜻에서 barking cough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이 증상은 크루프(Croup)의 전형적인 증상이다.

 

 일반적인 감기와 비슷하면서도 치료에 차이가 있는 질환이기에 크루프를 감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크루프 병에 대하여 공부해보겠다.

 

크루프 (Croup; laryngotraceitis)

#. 정의 및 역학

 1) glottis & subglottic region의 viral infection 

 2) 3세 이하 남아, 가을과 겨울에 호발함.

 3) parainfluezna virus type 1 (50%), parainfluenza virus type 2 & 3, RS virus, influenza type A & B

 4) 수일 전 전구증상 (mild fever, URI 증상) 이 선행

 

#. 임상양상

 1) barking cough, hoarseness, inspiratory stridor

 2) low grade fever (심한 경우엔 39~40℃ 까지도 가능)

 3) 밤에 심해지고 점차로 정도가 약해지다가 호전경과 보임

 4) agitation, crying이 증상을 더욱 악화시키미

 5) 분류

  - 경증 : 간헐적인 barky cough, 초조한 상태에서 stridor (휴식 상태에서 stridor 없음), 약간의 tachycardia와 tachypnea 

  - 중증 : 휴식 상태에서도 stridor 있으며, 초조한 상태에서 더욱 악화됨. barky cough, work of breathing이 증가(chest wall retraction, tachypnea, tachycardia가 저명함)

 

#. 신체검사

 1) hoarse voice, coryza, inflamed pharynx, slightly tachypnea (RR ↑)

 2) rigid laryngoscopy 또는 flexible fiberoptic nasolaryngoscope를 통해 glottis 및 subglottis의 부종을 확인

 

#. 진단검사/영상검사

 1) 임상증상으로 충분히 진단 가능하며, 반드시 영상이 요구되는 것은 아님. 비전형적인 증상이나 경과를 보일 때, 이물 흡인이 의심될 때 감별진단을 위해 기도 안정을 취하고 영상 검사를 고려해야 한다.

 2) Neck AP : subglottic narrowing 이 확인되는데 이를 steeple sign이라고 한다.

012
(응급실에 내원한 croup 환아의 x ray 사진; neck AP, neck lateral view)

 

  * 일반적으로는 CT를 촬영하지는 않지만, 다른 질환과 감별을 위해 시행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심한 stridor를 보이며 내원했던 소아환자의 CT chest 영상, 위 x ray 영상의 주인공과 동일하다 glottic&subglottic region의 swelling으로 상당히 좁아진 airway를 확인할 수 있다.)

 

#. 감별진단

 - foreign body, retropharyngeal/reitonsillar abscess, angioedema 등 upper airway에 협착이 유발될만한 질환과 감별이 필요하다.

 

#. 치료 및 처치

 1) cool mis : evidence가 없고, bronchospasm이 유발 될 수 있다.

 2) aerosolized epinephrine : vasoconstriction을 통해 부종 및 급성 증상들을 호전 시킴

  - 1:1,000 으로 희석된 epinephrine을 0.5ml/kg (max 5 ml) 용량으로 nebulizer 시행한다.

  - onset이 10분 이내로 짧고 1~2시간 동안 유지되며, 15~20분 간격으로 반복할 수 있음.

  - rebound phenomenon이 있어 3시간 경과 관찰 후 퇴원하는 것이 좋음.

  - TOF(tetralogy of fallot), tachycardia, ventricular outlet obstruction 가 있는 환아에서는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3) corticosteroid

  - 치료의 근간

  - 경구/흡입/주사 모두 효과는 동일하게 좋음

  - dexamethasone 0.15~0.6 mg/kg, PO/IM

  - nebulized budesonide (2mg/dose) :1 mg/kg/day

    8일 이상 사용시 oral candidiasis 유발가능, varicella, tuberculosis 환아에게는 투여하지 말것.

 4) 항생제는 불필요하나 심한 경우엔 투여하기도 함.

 5) heliox (helium-oxygen mixture) : severe croup 또는 intubation 필요로 하는 경우 도움된다.

 

 

#. 입원 적응증

 1) 심한 호흡곤란 또는 호흡부전, hypoxia, hyperpyrexia

 2) dehydration이 심한경우

 3) epinephrine과 steroid 흡인 후에도 지속적인 stridor가 들리는 경우

 4) 지속적인 tachycardia 또는 tachypnea 를 보이는 경우

 5) 복잡한 과거력 (미숙아, 선천성 심폐질환)

 6) 어린나이 (6개월 미만)

 

반응형